작년 처음 이 집에 왔을 땐, 집을 둘러싼 넓은 빈터, 풀로 가득히 뒤덮여 있는 땅을 어찌해야 할지 막막했다. 감당하려면 계획을 세워야겠다 싶어 생각만 하고 풀만 없애는 중이었다. 상추 모종을 사서도 땅에 심을 엄두를 내지 못했다. 저 풀 속에서 이 여린 상추가 어떻게 자랄 수 있을까. 길쭉한 화분을 몇 개 사서 거기에 몇 포기씩 심었을 정도였다.
여름 즈음 김장용 배추와 무 모종 한 판, 60포기씩을 사온 남편을 타박했다. 그 많은 걸 어떻게 심고 관리할 거냐면서 투덜댔다. 그래도 사온 걸 어쩌랴. 해가 잘 들 만한 터를 골라 풀을 뽑고 골을 파서 모종을 두 줄 나란히 심었다.
매일 사는 게 아니라 물 줄 일이 걱정이었다. 배추 모종 때문에 주말이 아니라도 틈날 때마다 가서 물을 주어야 했다. 비싼 배추를 먹을 판이었다. 작은 떡잎이 지고 쑥쑥 자라 제법 잎이 이들이들 커질 때 즈음엔 배춧속이 노랗게 꽉 차기를 기대하면서 끈으로 묶어주었다. 이웃 텃밭을 보고 흉내낸 거였다. 그러다 바쁜 일상에 배추를 까맣게 잊었다. 갑자기 기온이 뚝 떨어진다는 예보에 화들짝 놀랐다.
배추가 생각났다. 저녁참에 잠시 틈을 내어 황급히 달려갔다. 큰 비닐봉지를 사 들고 가서 배추를 뽑아 담았다. 약을 한 번도 치지 않아서였는지 까맣게 벌레가 낀 배추가 많았다. 성한 걸 골라도 제법 많아 이웃에도 나눠주었다. 나물로도, 물김치로도 꽤 오래 먹을 수 있었다. 그러나 다신 이렇게 큰 농사(?)는 짓지 않으리라 결심이 섰다.
올핸 수돗가 근처에 작은 텃밭을 일궜다. 물 주기가 편하다는 판단에 고른 터였다. 채소 모종을 이것저것 사 본격적으로 텃밭농사를 해 볼 참이었다. 미리 풀을 뽑고 유기농 퇴비를 사서 흙과 섞어 두었다. 모종은 오일장에서 사기로 했다. 옹기종기 나온 예쁜 모종은 종류도 얼마나 많은지 구경만으로도 재미있었다. 서너 개 정도의 작은 포트에 1~2천 원짜리 모종을 이것저것 샀다. 토마토와 고추는 기본, 파, 가지, 오이, 내가 좋아하는 고수와 청겨자도 샀다. 텃밭을 늘려가며 당귀, 명이나물, 땅콩에다가 양배추를 줄지어 심었다. 안동의 지인이 상추 모종을 잔뜩 보내주셔서 길게 한 줄 심었다.
심을 땐 시들하던 애들이 며칠 지나선 꼿꼿해지다가 제법 실해지니 들여다보는 재미가 있었다. 모두의 집에 가면 제일 먼저 들르는 최애 스팟이 되었다. 손주가 집주변 이곳저곳에서 가느다란 쇠막대기를 주워 모은 것이 10여 개나 되었다. 지줏대인 것 같다고 했더니 같이 세우자고 한다. 고추와 토마토 모종 옆에 손자는 망치로 박아 세우고 나는 끈으로 묶었다. 후에 제대로 된 지줏대를 사와 더 높게 세웠다.
쉼없이 자라는 풀을 갈 때마다, 볼 때마다 뽑아주었다. 고추는 흰 꽃을 핀 데마다 고추를 맺고, 토마토도 조롱조롱 열매를 달아낸다. 아침에 눈 비비며 일어나는 손녀에게 작은 통을 하나 들려주며 토마토를 따보라고 했다. 네 대답하면서 달려가 토마토 넝쿨 아래에 쪼그리고 앉는다. 빨간 토마토를 똑 따서 하나는 통에 담고 하나는 입에 넣어 오물거리는 모습이 참 예쁘다. 텃밭 재미란 이런 건가 싶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