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강덕 포항시장 인터뷰
“향후 포항의 산업은 철강과 이차전지를 중심으로 수소·바이오 등 다양하게 구축될 것입니다.”
지난주 ‘이차전지 특화단지와 수소클러스트’ 국책사업을 유치한 이강덕 포항시장은 23일 “국가적으로는 혁신 성장과 글로벌 초격차·초일류 강국 견인 역할을, 지역에는 안정적인 미래 신산업 먹거리를 확보하게 됐다”며 환하게 웃었다.
사실 포항은 20여년전 부터 세계 저가 철강시장을 중국에게 내줌으로써, ‘제2의 산업 먹거리를 찾지 못할 경우 과거 미국 철강도시 피츠버그 처럼 쇠락하는 것이 아닌가’하는 걱정이 많았다.
하지만 이같은 우려는 수년전 이차전지산업이 포항에 유치되면서 불식되기 시작하다 지난 20일 특화단지 포항 유치성공으로 드디어 마침표를 찍게 됐다.
‘이차전지·수소’ 국책사업 유치 미래먹거리 확보
경북도·유관기관 협력 산단 기반시설 조성 박차
기업 집적+R&D 인프라+인재 양성 3박자 목표
후속 배터리 글로벌 혁신특구 유치 ‘생태계 완성’
이 시장은 이날 그동안 철저히 준비해온 이차전지 육성 계획에 대해 차근차근 밝혔다.
“먼저 경북도와 공동으로 ‘전지보국 2050 TF’팀을 구성, LH·K-Water·한전 등 유관기관과 연대해 특화단지 기반시설 조성을 지원할 것”이라며 “향후 세계 최대 이차전지 소재 메가클러스터가 포항에 구축될 것”이라고 큰 그림을 그렸다.
이에 따라 영일만산업단지와 블루밸리국가산단 일대 1천144만㎡에 대한 용수와 전기 등 산단 핵심 기반 시설, 공동연구개발 인프라, 의료·교육·주택 등 각종 편의시설, R&D 예산 우선 반영, 인력양성 등에 대한 지원이 원활해질 것으로 보인다.
수소클러스터의 경우 2024년부터 2028년까지 5년 동안 총사업비 1천918억원을 투입, 포항 블루밸리 국가산단 내에 클러스터 단지가 조성된다.
단지에는 관련 기업 50개사가 유치되고 고용유발 효과가 3천600명에 달하는데다 스택 등 내부 부품도 다양해 관련 중소기업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매우 클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어 이 시장은 “이차전지 투자 유치 인프라 확충을 위한 ‘배터리 글로벌 혁신특구’, ‘글로벌 기업혁신 파크’, 세제·재정 지원을 위한 ‘기획발전특구’ 등을 지정 추진해 이차전지 혁신산업 생태계를 완성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또 “이차전지 혁신 인재 양성센터를 조성, 기업에 맞춤형 인재를 원활히 지원할 것”이라면서 “지속가능한 이차전지 자원순환 체계 구축도 강력히 추진 할 것”이라고 밝혔다.
“맞춤형 인재 양성을 위해 에코프로와 포스코퓨처엠 등 선도기업들과 민관 합동 양성기관을 설립할 예정”이며 “자원순환은 배터리 재활용뿐 아니라 재제조, 전기차 모터 순환체계 구축 등이 주요사업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포항이 2030년 ‘배터리 심장’ 양극재, 100만t 생산에 70조 매출을 기대한다는데?
△포항은 원소재부터 양극재, 음극재까지 대량 생산시설 집적에 성공해 이미 핵심소재 대량 생산과 소재 공급 요충지로 급부상했다.
지난해에는 이차전지 원가의 약 40%를 차지하며 출력·성능을 좌우하는 핵심소재인 양극재 생산량이 15만t을 기록했다.
현재의 생산 규모와 특화단지 지정에 따른 정부 지원을 감안하면 2030년 100만t 생산은 실현 가능한 수치다.
연매출 70조원은 글로벌 양극재 수요량 605만t의 약 16.5%를 차지하는 막대한 규모다.
여기에다 포항의 리튬과 전구체, 음극재 등 원료·소재 생산량까지 더하면 총생산은 200만t을 웃돌게 된다.
지난해 포항지역 철강산업 총 매출액은 35조원, 이차전지는 5조원이었지만 수년뒤에는 이차전지가 철강보다 산업 불륨이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포항시가 글로벌 산업도시로 도약하려면 어떤 준비를 해야 하나?
△‘기업 집적+R&D 인프라+인재 양성’ 등 3박자를 모두 갖춘 도시가 돼야 한다.
이를 위해 핵심 인프라 구축, 초격차 기술개발, 원활한 인력 공급, 건실한 산업 생태계 확립 뿐 아니라 인허가 간소화, 세제 지원 등의 모든 필요조건을 충족시켜야 한다.
또 철도와 항만, 고속도로, 공항 등 편리한 물류 교통망 유지와 인근 대구경북 전기차부품 벨트와 울산의 완성차와 연계한 산업 클러스터 조성도 매우 중요하다.
/박진홍기자 pjhbsk@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