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봉숭아꽃 물들이기

등록일 2023-07-12 19:36 게재일 2023-07-13 18면
스크랩버튼
이정옥위덕대 명예교수
이정옥 위덕대 명예교수

모두의집 뜨락에 추억의 꽃씨를 심었다. 채송화, 분꽃, 봉숭아꽃. 부지런히 물을 줬는데도 자라기는 제각각이다. 씨가 가장 자잘한 채송화씨는 어디로 날아가 버렸는지 한 송이 겨우 피는 흉내만 냈다. 제법 씨가 굵은 분꽃은 듬성듬성 던져 심었는데도, 노리짱하게 자라는 게 영 시원찮다. 봉숭아만 실했다. 가지런히 싹을 틔우더니 불그스름한 줄기가 쑥쑥 자랐다. 잎사귀를 내더니 어느 날부턴가 진분홍, 연분홍, 주황의 여리고 예스러운 꽃을 피워 내어 예쁘다. 언젠가 서울 손녀가 오면 손주들 다같이 손톱에 봉숭아물을 들여야겠다고 생각하며 매번 갈 때마다 물을 주며 곱게 키웠다.

아니나다를까 윤이는 봉숭아를 보자마자 반색을 했다. 그리고는 냅다 봉숭아꽃물들이기를 하겠단다. 어린 다른 애들은 봉숭아꽃도, 꽃물 들이기도 몰라 물어대는 중이었다. 어느 게 봉숭아예요? 물들이기가 뭐예요? 나도 할래요….

꽃만 있다고 되는 게 아니라며 기다리게 했다. 백반을 사왔다. 실, 비닐장갑을 내와 이벤트를 시작했다. 네 아이 모두에게 먼저 꽃을 따게 했다. 꽃과 잎을 고루 따서 마늘절구에 넣어 찧어 짓이겼다. 아빠 엄마들이 달려들어 찧은 봉숭아즙을 손톱과 발톱에 올려 주었다. 비닐장갑의 끝을 잘라 손가락마다 씌워주고는 인내심을 가르쳤다. 밤새워야 하는데, 봐주겠으니 낮잠 한숨씩 자야한다며 겁을 주었다. 잠시 조용했다. 어디 아이들이 가만있을 리 있겠는가. 십여 분이 지나자 먼저 바른 아이부터 씻어 달란다. 어쩌면 그 짧은 시간에도 제법 발그레하게 예쁜 봉숭아꽃물이 들었다. 발라 준 어른도 바른 아이도 신기해하면서 손톱 발톱 자랑을 한다. 한여름 대청마루엔 봉숭아꽃물 든 웃음소리가 차고 넘쳤다.

옛날, 나 어릴 적엔 큰집에서 이런 놀이를 했다. 하얀 모시적삼을 입은 큰어머니께서 주신 하얀 명반을 큰 돌 위에 얹어 작은 돌로 깼다. 봉숭아꽃도 돌로 찧었다. 꽃과 잎을 함께 찧어서인지 봉숭아 찧은 물색은 누렇거나 검었다. 가루가 된 명반과 섞어 손톱 위에 얹었다. 큰어머니는 흰 천을 작게 오려 손톱을 감싼 후 실로 칭칭 감아주셨다. 다섯 손가락을 오무리지 않아야 했으므로 쫙 편 채로 마당을 어슬렁거렸다. 흰 꽃이 오롱조롱 매달린 꽈리나무에서 꽃의 수를 세었다. 마당 한켠에 핀 키 큰 접시꽃에서 붉은 꽃송이를 따서 꽃의 밑쪽을 조심스럽게 반 갈라 코 위에 올려 꼬끼오해보기도 했다. 시간이 꽤 흐르고 손가락 끝을 동여맨 실과 천에 시커먼 물이 들면 실을 풀었다. 통통 부은 손가락과 손톱엔 붉은빛이 돌았다. 도발적인 봉숭아물의 색기에 잠시 부끄러움이 들었다. 그 후 여름마다 간 이모네나 외가댁에서도 어김없이 손톱물을 들였는데, 그 빨갛던 손톱의 색도 왠지 내내 부끄러움으로 남았다. 여름 지나 가을쯤 반달만큼 남은 손톱이 겨울이 다 되어 희미해져 사라질 때까지 남들 눈에 띌까 감췄던 기억이 있다. 그러면서도 이듬해 여름엔 또 봉숭아꽃을 찧었다.

오늘 봉숭아꽃 물든 손톱을 하고 간 손주들이 내일 학교와 유치원에서 친구나 선생님께 손톱을 보이며 어떤 이야기를 할까, 어떤 느낌을 말할까 궁금해진다. 부끄러움은 절대로 아니지 싶긴 하다.

이정옥의 신황금기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