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지속적 모니터링 필요”
정부는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오염수 방류 문제에 대해 “현장 점검 결과와 이후 추가 확보한 자료 등을 토대로 일본의 계획을 과학 기술적으로 검토해오고 있다. 이제 마무리 단계”라고 밝혔다.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시찰단장을 맡았던 유국희 원자력안전위원회 위원장은 2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진행한 브리핑에서 “전날인 26일, 한일 양국 간 실무 기술회의를 가졌다”며 “도교 전력의 시운전 현황을 포함한 기술적 사항에 대해 최종적으로 도쿄전력과 일본원자력규제위원회의 답변을 듣고 그에 대한 근거 자료를 요청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원안위에 따르면 전날 회의에서는 오염수 이송·희석·방출 설비에 대한 도쿄전력의 시운전과 NRA의 사용 전 검사 진행 현황, 방사선감시기 경보 설정치와 같은 부분에 대한 이야기가 오간 것으로 알려졌다. 유 위원장은 “삼중수소 희석을 위해 사용되는 해수의 방사선 감시를 위해 5호기 취수구에 방사선 감시기가 추가 설치됐음을 확인했다”며 “주요 핵종에 대한 다핵종제거설비(ALPS) 흡착재 별 교체 주기 등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유 위원장은 원안위와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 기술검토팀 현황에 대해 “ALPS 가동 시점인 2013년부터 2023년 최근까지 3종류 ALPS 입출구에 측정된 모든 핵종의 농도값 자료에 대한 정밀분석 작업이 진행 중”이라며 “현재까지 분석 결과로는 배출기준을 초과해 검출된 적이 있는 핵종은 6개로 파악됐다”고 설명했다.
유 위원장은 “현재 후쿠시마 원전 1천70여개의 탱크에 배출기준을 초과하는 오염수가 70% 정도”라며 “그 70%에 있는, 배출기준을 넘는 핵종들로 이해하면 될 것 같다. 대부분이 2019년도 이전에 배출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2019년 이후엔 배출기준을 초과하지 않았느냐’는 질문에는 “그 부분은 기술적 확인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늘 모니터링해야 한다”고 답변했다. /박형남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