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 “장소 어디든 공개 토론하자”<br/>金 “대화 않고 논쟁하자니 답답”
국민의힘 김기현 대표와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 간 일대일 회동 방식을 둘러싸고 신경전이 지속되고 있다. “공개 토론을 하자”는 이 대표와 달리 김 대표는 “비공개 회동이 전제돼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하면서 양측의 줄다리기가 열흘 넘게 이어지고 있다.
이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 종료 직전 별도 발언을 통해 “자꾸 (회동) 형식을 가지고 이야기하고 있는데, 그 문제를 갖고 지금 몇 주가 지나고 있다”며 “당장 오늘 오후도 좋다. 국회 로텐더홀에 의자와 책상 하나만 놓고 만인이 보는 가운데서 허심탄회하게 대화하자”고 밝혔다.
이 대표는 “국민의힘은 겉으로는 하자면서 뒤로는 실질적으로 반대하며 발목을 잡는 경우가 참 많은 것 같다”며 “말로는 (회동) 하자면서 실제 협의를 해보면 이 핑계, 저 핑계를 대며 자꾸 미룬다”고 꼬집었다.
그는 이어 “무슨 선거 국면의 후보들 간 토론회도 아니고 굳이 형식과 절차를 갖춰서 자꾸 미룰 필요가 없다”며 “시간이 되는 대로 아무 데서나 하자. 국민의힘 회의실도, 이(민주당 당대표실) 회의실도 괜찮다. 아니면 국회에 다른 회의실도 많지 않으냐”고 덧붙였다.
이에 김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확대당직자회의가 끝난 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자꾸 대화는 안하고 논쟁만 하자고 하니까 답답한 노릇”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대화는 논쟁하는 자리가 아니다”며 사실상 거절 의사를 밝혔다.
그러면서 그는 “여야 대표가 만나서 국정 현안을 아주 긴밀하게 이야기 나누는 그런 협상의 자리가 대화의 자리인 것이지, 토론하는 자리가 협상하거나 대화하는 자리가 아니다”고 강조했다. 그는 나아가 “토론을 하자고 하시니까 얼마든지 좋다”면서도 “토론은 하는데, 여야 사이에 국정 현안을 협의하기 위한 별도 자리가 필요하다고 말씀드리는 것”이라고 했다. /박형남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