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네마다 자리했던 슈퍼나 작은 구멍가게들을 대신해 어느새 전국 곳곳에 모두 같은 모양과 같은 구성을 하고 있는 편의점이 들어찬 시대가 되었다. 밤새 운영한다는 의미의 ‘편의(convenience)’는 이미 우리의 일상에서 당연한 것이 되고, 이젠 편의점 없는 한국 사회는 상상할 수 없게 되었다. 아마 몇십 년, 몇백 년이 지난 뒤 남아 있는 한국 사회의 풍경을 회고한다면, 아파트와 편의점이라는 공간을 빼고는 어려운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 정도가 되었다. 어느 시대나 그 시대에 맞는 시대적 상징이 되는 공간이 존재한다면, 편의점이야말로 우리 시대의 상징적인 공간인 셈이다.
한국에서 편의점이라는 공간이 처음 생긴 것은 80년대 말이었다. 24시간 일용품을 구입한다는 편의점이라는 콘셉트는 그것을 처음 경험하는 한국인들에게는 분명 신기한 곳이었을 테지만, 그 신기함이 일상으로 바뀌지 않으면 편의점이라는 공간은 어떠한 의미도 갖기 어렵다. 당연하게도 한국에서 최초의 편의점은 실패하고 문을 닫았지만, 이후 90년대 초부터 편의점 공간은 하나씩 생기기 시작해서 이제는 거리 어디를 가나 편의점을 만날 수 있다.
편의점에서 우리는 일상을 산다. 때를 놓친 끼니를 해결하기 위해 컵라면과 도시락을 사고, 힘들었던 하루를 소박하게나마 기념하기 위해 캔맥주와 간단한 안주거리를 사고, 급하게 필요한 물티슈나 칫솔 등을 사기도 한다. 가끔은 아무 것도 살 것이 없어도 그냥 지나치지 못하고 들러, 투플러스 원으로 파는 아이스크림이나 과자봉지를 사들고 오게 되는 것이다. 현대사회에서 소비라는 것만큼 인간의 정체성을 잘 보여주는 것이 없다면, 편의점에 빼곡히 진열되어 있는 어느 것 하나도 비싼 것 없는 것들 사이를 고민하는 현대의 인간의 소비야말로 현대 인간의 정체성을 가장 잘 보여주는 것이다. 명품의 소비처럼 계층의 취향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편의점에서 우리는 일상을 사고, 일상에 머물기를 바란다.
한국 사회에 문득 등장한 편의점이라는 공간에 담긴 의미를 가장 본격적으로 관찰하고 의미부여했던 작가는 아마도 김애란일 것이다. 2003년에 발표했던‘나는 편의점에 간다’라는 소설에서 작가 김애란은 도시 변두리에 살고 있는 젊은 여성의 관점에서 당시 우후죽순처럼 생기기 시작한 편의점이라는 공간의 의미를 살폈다. 바로 직전까지 친밀한 가족에 기반한 서로에 대한 관심의 시대를 보내왔던 한국 사회에서 편의점은 물건을 사고 파는 것 이외에는 쓸데없는 관심을 주고 받지 않는 산뜻한 인간관계를 보여주는 공간이다. 이 ‘거대한 관대’의 공간이야말로 관계의 압박에서 질식해가던 당시의 젊은이들에게 큰 축복이 되는 것이다.
하지만, 언제나 그렇듯, 축복만 되는 관계란 존재하지 않는다. 얻는 것이 있다면, 잃는 것도 있다. 20년 전 한국은 집단적 관계를 중시하는 사회로부터 개인들의 사회로 이전했으며, 이제 모두 외로운 섬이 된 인간들은 서로 연결되길 바란다. 재작년 출간되어 상당한 인기를 얻었던 작가 김호연의 ‘불편한 편의점’은 우리가 편의점이라는 공간 속에서 좀 더 친밀한 관계를 바란다는 징후일지도 모른다. 이 소설 속에서 편의점은 서로에게 아무도 기대하지 않게 된 인간들이 서로에 대한 관심을 끝끝내 놓지 않는 공간이다. 편의점은 발주와 폐기 사이에서 일상이 존재하는 곳이고, 고객과 진상 사이에서 인간이 만나는 곳이다. 누구나 가야만 하는 곳이고, 새로운 이야기가 시작되는 곳이다.
20년을 사이에 두고 나온 두 편의 소설을 읽으며, 편의점에 진열된 우리의 일상에 대해 생각한다. 우리의 삶은 편의점과 또 다른 편의점 사이를 흘러가고 있다.
/홍익대 교수 송민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