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십갑자 중 서른여덟 번째는 신축(辛丑)이다. 천간(天干)의 신금(辛金)은 잘 다듬어진 칼같이 날카롭고, 보석처럼 아름답다. 지지(地支)의 축토(丑土)는 계절로는 겨울이라 땅이 얼고 차갑다. 동물로는 흰 소다.
신축일주는 밤하늘에 빛나는 별의 형상처럼 지혜롭고 머리가 뛰어나다. 기획력과 창의력은 탁월하다.
눈치가 빠르며, 밤하늘의 별처럼 신비스러운 것이나 이상을 동경하는 경향이 있다. 영감이나 꿈으로 미래를 잘 예측하기도 한다.
천간과 지지가 음의 기운으로 냉철하며, 날카로운 성격의 소유자다. 감수성이 예민하고 세밀하여 일처리가 빈틈없이 깔끔하다. 유행에 민감하고, 세련미가 넘치며, 타인을 사로잡는 능력도 탁월하다. 하지만 자존심이 강해 시야가 좁고 외골수이기 때문에 편협함이 있다. 매섭기가 그지없으니 내면에 공격성이 숨어 있어 자기 눈에 벗어나면 독설도 서슴지 않는 날카로움을 지니고 있다.
신축일주 남자는 재주와 재치가 있다. 맡은 일에 성실하고 책임감이 있다. 신의도 잘 지킨다. 배우자를 의지하려는 경향이 있고, 고생시킬 수도 있다. 여자는 단정하고 차가워 보이는 미인형의 얼굴이 많다. 또한 총명하며 배우는 것을 좋아한다. 자부심도 강해서 아량이 부족하게 보이기도 한다.
중국 전한시대 유향이 지은 ‘전국책’ 진책2편에 나오는 이야기다. 강 언덕에 있는 어떤 마을에 처녀들 몇이 있었다.
그 가운데 한 처녀의 집이 매우 가난해 밤이 되어도 등불을 켜지 못하는 형편이었다. 밤이 되면 가난한 처녀는 여러 처녀들이 모여 노는 집으로 찾아가서 바느질을 하곤 하였다. 어느 날 여러 처녀들은 가난한 처녀를 더 이상 오지 말라며 쫓아냈다.
그러자 처녀는 여러 처녀들을 보고 “나는 우리 집에 등불이 없기 때문에 여기에 와서 불빛을 빌려 써야 했지만, 그게 늘 고맙고 미안해서 언제나 제일 먼저 와서 방도 치우고 자리도 펴 놓았지. 그런데 너희들은 이 사방 벽에 비추어 남아도는 등불 빛 한 가닥이 아까워 나를 쫓아내는구나. 남는 불빛을 나에게 준다고 해서 너희에게 무슨 해가 되냐? 나는 스스로 너희들에게 무엇인가 도움이 되고 있다고 생각을 했었는데….”라고 말했다.
여러 처녀들이 수군수군 의논하더니 가난한 처녀의 말에 고개를 끄덕이며 계속 오라고 말했다. 사람에게는 순화되어야 할 감정이 많이 숨어있다. 남의 어려움이나 불행에 대해 연민이나 동정심을 느끼는 마음이다.
신축일주는 하늘은 매섭고 찬바람이 휘날리는 신금(辛金)이지만, 땅은 소(축, 丑)다. 남들 보기에는 힘든 일도 소나 닭 쳐다보듯이 무심하게 소걸음으로 천리를 가는 기운이다. 부지런하지만 결코 스마트하지 않는, 좀 늦고 떨떨한 신축! 재주도 메주도 별로 잘하는 것이 없는 신축! 거기다가 생각하는 것도 진취적이지 못하다. 좋은 말로 표현하면 우공이산(愚公移山)이고, 옆에서 보면 속이 답답한 경우이다.
하늘이 살벌한 신(辛)의 기운으로 매서운 칼날을 들고 있지만, 땅인 소는 알고 있다. 그것이 보석을 나누어주기 위한 하늘의 이치라는 것을. 참으로 소의 커다란 눈망울 같이 순하고 순수하며 따뜻한 눈으로 보아주고 있다. 대체적으로 판단력이 좋고, 신속한 행동을 한다. 약간은 즉흥적이지만, 로맨틱하지는 않다. 남녀 모두가 소위 분위기 파악이 잘 되지 않는 성향이 있어 흠이 될 수 있다.
소처럼 혼자 있는 것을 좋아한다. 고독하거나 주변에 사람이 없어서가 아니라, 어떤 것에 집중하는 것을 좋아하기 때문이다. 그것이 좋은 일이든 나쁜 일이든 빠지면 깊이 들어가는 기운이 있다. 특히 자기 자신에게 집중하는 습관이 많다.
신축일주는 물상으로 언 땅 위에 박힌 보석처럼 침착하고 매사에 신중하기에 화가 나거나 속이 상해도 쉽게 화를 내지 않는다. 겨울의 차가운 환경에서도 봄을 맞이하여 뜻을 펼치기 위한 노력이 남다르다. 늘 불안하고 걱정하는 성격이지만, 미래에 대한 희망을 품고 산다.
재물과는 인연이 깊지 못하여 타고난 재능으로 인내하고 노력하며 살아야 한다. 허나 시기 질투가 강하여 남과 비교하는 내향적인 성질이지만, 직감과 영감이 뛰어나 종교와 철학에 관심이 많아 종교생활에 적합하다.
신축일주에는 효신살(梟神殺)이 있다. 올빼미 효(梟)와 귀신 신(神)을 써서 올빼미 신이라는 뜻이다. 중국에서는 동방불인지조(東方不仁之鳥)라 하여 새끼가 성장한 이후 어미 새를 쪼아 먹는 폐륜적인 새로 알려져 있다.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고 한다.
다시 말해 남자는 어머니와 사이가 좋지 않고, 여자는 시어머니와 갈등을 야기하기에 좋게 보지 않는 경향이 있다. 그것은 지나친 애정과 간섭으로 생긴 문제다. 자신의 잘못된 점은 생각하지 않고, 남의 단점만 보기 때문에 발생한 일이다.
유향이 지은 ‘설원’ 담총편에 나오는 이야기다. 비둘기가 올빼미를 보고 어디로 가는지 물었다.
올빼미는 “나는 동쪽으로 이사를 가려고 한다”라고 대답했다.
비둘기가 왜 이사를 가려 하는지 물었다. 올빼미는 마을사람들이 자신의 울음소리를 싫어하기 때문이라고 대답했다.
비둘기는 올빼미에게 너의 울음소리를 고칠 수 있다면 이사를 가도 되겠지만, 울음소리를 고칠 수 없다면 동쪽으로 이사를 가더라도 거기 사람들은 여전히 너의 울음소리를 싫어할 것이라고 말했다. 효장동사(梟將東徙)라는 고사가 여기서 나왔다.
올빼미는 자신의 허물을 고치려 하지 않고, 자신의 울음소리를 싫어하는 사람들만 탓하면서 단지 사는 곳을 옮김으로써 문제를 해결하려 한 것이다. 살아가면서 우리는 필연적인 사건들과 맞닥뜨린다. 애착, 대립, 관계, 이별, 상실, 성가신 뒤처리 등 사력을 다해야 하는 일이다.
물론 이런 문제에서 등을 돌릴 수도 있다. 그러나 할 수 있다면 그 모든 것을 순순히 받아들이고 전력을 다해 마무리해야 한다. 그러면 그 모든 일은 완전히 자신의 것이 되는 것이다. 그 같은 과정을 통해 손대기 전에는 힘들었던 일이 생각보다는 가벼운 문제였음을 깨닫게 된다. 우리의 삶은 회피한다고 해결되는 문제가 아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