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비 228억 투입 기공식 가져<br/>압독국 사람들의 삶 체계적 복원<br/>교육·문화 어우러지는 공간 목표
[경산] 고대 사람들의 삶의 모습(생활유적)과 죽음의 관념(무덤 유적)을 한 곳에서 볼 수 있는 국내 유일의 복합유적인 임당 유적을 전시·조사·연구·교육하는 경산 임당 유적전시관이 2025년 개관한다.
임당 유적은 임당동 고분군과 조영동 고분군, 부적리 고분군, 신대리 고분군을 통칭하는 것으로 기원전 2세기에 처음 널무덤(木棺墓)이 조영되기 시작해 기원후 7세기경의 돌방무덤(石室墓)이 만들어지기까지 대략 800년 동안 단절 없이 지속한 압독국의 중심고분군이다. 1천700여 기에 달하는 무덤과 2만8천여 점에 달하는 방대한 유물로 압독국의 실체를 규명하는데 결정적인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지난 24일 기공식이 열린 임당 유적전시관 건립은 압독국 문화유산을 체계적으로 정비 복원하는 사업의 핵심이다. 지난 2018년 문화체육관광부 공립박물관 설립 타당성 사전평가 통과 후 지난해 11월 착공했다. 총사업비 228억 원이 투입돼 부지 1만2천257㎡에 전체면적 4천942㎡(지하 1층, 지상 2층) 규모로 임당 고분군과 연접해 조성된다.
임당 유적전시관은 임당 유적에서 출토된 유구, 유물과 함께 압독국 문화유산 연구활용 프로젝트를 통해 분석·연구한 고인골과 동식물 자료 등을 바탕으로 고대 경산사람들에 대해 전시·교육하는 전문 박물관 역할을 담당한다.
특히, 임당 유적에서 발굴된 고인골은 모두 259개체로 삼국시대 고총 고분에서 출토된 인골 중 국내 최대이다. 지배계층과 피지배계층의 인골이 함께 출토돼 유아부터 청년과 노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나이의 인골 DNA 분석자료와 복원된 인물을 전시한다.
경산시는 전시관 건립과 함께 임당 유적을 중심으로 단일유적에서 나온 국내 최대규모의 인골 자료와 동식물 자료를 영남대 박물관과 함께 여러 학문의 연계 연구를 통해 압독 사람들의 삶을 생생하게 복원한다. 또 사적 경산 임당동과 조영동 고분군을 활용한 생생문화재사업 ‘압독국, 미래를 만나 영원불멸을 꿈꾸다’와 임당 유적의 심층 연구를 위한 학술 세미나 등 전시관의 전문성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조현일 경산시장은 “널리 알려진 임당 유적을 단순히 전시하는 공간이 아닌 일반인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재미있는 스토리텔링으로 교육과 문화가 함께 어우러지는 지역 커뮤니티센터의 역할도 함께 수행하는 전문전시관으로 건립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2025년 개관하는 임당 유적전시관은 경산시립박물관(2007년 개관)과 삼성현역사문화관(2015년 개관)에 이은 경산시의 3번째 공립박물관으로 등록할 예정이다.
/심한식기자 shs1127@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