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대통령 관계개선 의지 밝혀<br/>이재명 대표와 대화 없이 악수
윤석열 대통령은 1일 3·1절 기념사에서 “3·1운동 이후 한 세기가 지난 지금 일본은 과거의 군국주의 침략자에서 우리와 보편적·가치를 공유하고 안보와 경제, 글로벌 어젠다에서 협력하는 파트너로 변했다”며 한·일 관계 개선 의지를 밝혔다.
윤 대통령은 서울 중구 유관순 기념관에서 열린 제 104주년 3·1절 기념식에서 “복합 위기와 심각한 북핵 위협 등 안보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한미일 3자 협력이 그 어느때보다 중요해졌다”며 이같이 말했다.
윤 대통령은 순국선열들의 희생을 기리면서도 전세계적 흐름에 대응하지 못했던 한 세기 전 역사를 되짚었다. 그는 “보편적 가치를 공유하는 국가들과 연대하고 협력해 세계시민의 자유 확대와 세계 공동의 번영에 기여해야 한다”며 “104년 전, 조국의 자유와 독립을 위해 희생하고 헌신해온 순국선열과 애국지사들께 경의를 표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3·1 만세운동은 기미독립선언서와 임시정부 헌장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국민이 주인인 나라, 자유로운 민주국가를 세우기 위한 독립운동”이라며 “104년이 지난 오늘 우리는 세계사의 변화에 제대로 준비하지 못해 국권을 상실하고 고통받았던 우리의 과거를 되돌아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윤 대통령은 “변화하는 세계사의 흐름을 읽지 못하고 미래를 제대로 준비하지 못한다면 과거의 불행이 반복되게 될 것은 자명하다”며 “자신의 당대에 독립을 상상할 수 없었던 칠흑같이 어두운 시절, 조국의 자유와 독립을 위해 자신의 모든 것을 던졌던 선열들을 반드시 기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선열들을 제대로 기억하지 않는다면 우리의 미래는 없다”고 언급했다.
윤 대통령은 또 자유·혁신·기억·번영 등의 가치를 부각하기도 했다. 그는 “우리가 이룩한 지금의 번영은 자유를 지키고 확대하기 위한 끊임없는 노력과 보편적 가치에 대한 믿음의 결과였다. 그 노력을 한시도 멈춰선 안 될 것”이라며 “그것이 조국의 자유와 독립을 위해 희생하고 헌신하신 선열들에게 제대로 보답하는 길”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는 “영광의 역사든, 부끄럽고 슬픈 역사든 잊지 말아야 한다. 반드시 기억해야 한다”며 “헌신한 선열들을 기억하고 우리 역사의 불행한 과거를 되새기는 한편, 미래 번영을 위해 할 일을 생각해야 하는 날이 바로 오늘”이라고 했다.
윤 대통령은 “기미독립선언의 정신을 계승해 자유, 평화, 번영의 미래를 만들어가자”며 기념사를 마무리했다.
이날 기념식은 ‘다시, 대한민국! 새로운 국민의 나라’를 주제로 민족대표 33인을 상징하는 33개의 태극기 입장과 함께 시작됐다. 윤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는 독립운동가 고(故) 장진홍 선생 현손인 대구왕선초 4학년 장예진 양과 김영관 애국지사 등과 함께 입장해 눈길을 끌었다.
윤 대통령은 또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와 악수를 했지만 별다른 대화를 나누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윤 대통령과 이 대표가 공식 석상에서 만난 것은 지난해 10월 충남 계룡대에서 열린 제74주년 국군의 날 기념식 이후 처음이다.
/박형남기자 7122love@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