鄭 본부장 “아들 문제로 국민 걱정… 중책 수행할 수 없어”<br/>민주당 “인사라인 문책” 요구·대통령실 “검증 한계” 인정<br/>후임에 최주원 경북경찰청장·우종수 경기남부청장 거론
정 변호사는 25일 입장문을 통해 “아들 문제로 국민들이 걱정하시는 상황이 생겼고 이러한 흠결을 가지고서는 국가수사본부장이라는 중책을 도저히 수행할 수 없다는 결론에 이르렀다”며 “국가수사본부장 지원을 철회한다”고 밝혔다. 그는 “저희 아들 문제로 송구하고 피해자와 그 부모님께 저희 가족 모두가 다시 한번 용서를 구한다”며 “저희 가족 모두는 두고두고 반성하면서 살겠다”고 사과했다.
대통령실은 “인사 검증에 한계가 있었음을 인정한다”고 밝혔다. 대통령실 이도운 대변인은 26일 대통령실 브리핑에서 “현재 공직자 검증은 공개된 정보, 합법적으로 접근 가능한 정보, 세평 조사를 통해 이뤄지는데 이번에 자녀 관련 문제이다 보니 미흡한 점이 있었다”면서 “합법적 범위 내에서 개선 방안이 있는지 찾아보겠다”고 밝혔다.
학폭 논란에 대해서는 별도로 언급하기도 했다. 이 대변인은 “학폭에 대한 윤석열 대통령의 입장은 명확하다”며 “대통령은 학폭이 자유롭고 공정하게 교육받을 수 있는 권리를 침해하는 것으로 매우 엄중하게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는 “관련 부처에서도 대책 논의 중”이라고 했다.
이와 관련, 대통령실 관계자는 ‘해당 학폭 사건이 5년 전 보도됐는데도 검증에서 걸러내지 못했다’는 취재진 질문에 “언론에 보도됐지만, 실명으로 나온 게 아니라 익명이 나왔기에 관계자가 아닌 사람들이 알기 어려웠다”며 “아는 사람은 안다지만 대부분 몰랐고, 그래서 이번 검증에서 걸러지지 않은 것 같다”고 말했다. 윤석열 정부에서 도입한 공직예비후보자 사전질문서를 통해 본인, 배우자, 직계존비속이 관계된 소송, 검증 과정에서 논란이 될 수 있는 특이사항 등을 물었으나 정 변호사가 아들의 학교 폭력 전력을 자발적으로 적어내지 않고 숨겼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사라인 문책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야권을 중심으로 나오고 있다. 민주당 오영환 원내대변인은 “인사 참사의 책임이 있는 한동훈 장관과 이원모 인사비서관, 이시원 공직기강비서관 모두 검찰 출신이다. 정 변호사 또한 검찰 출신이고 한 장관의 동기”라며 “윤 대통령은 오로지 검사를 위한 자리만들기 정부로 기억되고 싶지 않다면 반복되는 인사 참사에 대해 국민께 즉각 사과하고 인사 검증 라인을 엄중히 문책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이런 가운데 차기 본부장은 재공모 또는 내부 선발로 선임될 전망이다. 경찰 내부에서는 문경 출신의 최주원 경북경찰청장(치안감)과 우종수 경기남부경찰청장(치안정감) 등이 차기 본부장으로 거론되고 있다.
/박형남기자 7122love@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