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봄이 오는 길목

등록일 2023-02-22 20:19 게재일 2023-02-23 16면
스크랩버튼
정미영 수필가
정미영 수필가

계절이 바뀌는 길목에 비가 오다 긋다. 빗물에 젖어 있는 고즈넉한 산책로에서 나래비 서 있는 나무를 만난다. 언 땅 아래에 새봄을 알리는 새싹들이 숨죽이고 있듯이 나무들의 몸피 속에서도 새순들이 나붓이 엎드려 있는 것 같다.

입춘이 지나고 나면, 봄을 기다리는 마음이 커진다. 봄 마중을 하러 모처럼 집을 나서니 나무가 먼저 눈에 들어오고, 그 다음으로 형산강 가장자리에 있던 새떼들이 눈에 띈다.

새들도 봄을 기다리는가. 손님맞이 단장을 하듯 깃털을 손질하고 물 가운데로 미끄러져 들어가 세수를 한다. 첨벙거리는 새의 움직임에 바람도 일렁인다. 봄을 재촉하는 내 마음에 조급함이 더욱 짙어진다.

강변 의자에 앉아 윤슬을 바라본다. 그 반짝거리는 햇살에 잇닿아 오래된 추억 속의 영화 한 편이 바람에 실려 온다. 로버트 레드포드 감독의 ‘흐르는 강물처럼(A River Runs Through It, 1992년 작)’이다. 자녀 교육에는 엄격하지만 아이들과 강으로 낚시를 하러 가는 자상한 면모도 갖춘 아버지 맥클레인과 부모님에게 순종하고 모범생이었던 형 노먼, 형과는 달리 자유분방한 성격의 동생 폴이 주인공이다.

어느 날, 거리에서 폴이 사망했다. 폴은 세상을 떠났지만 가족들은 그를 잊지 못했다. 맥클레인은 ‘사람을 완전히 이해할 수는 없어도 완전히 사랑할 수는 있다’는 말로 아들에 대한 영원한 사랑을 표현했다. 가족은 가장 소중한 관계이지만 온전히 이해하기 어려울 때가 있다. 존재 그대로의 모습을 받아들이고 사랑해야 한다는 말인 것 같아, 이 문장을 떠올릴 때마다 나는 감동을 받는다.

내 기억에 남아 있는 또 하나의 명문장이 있다.

‘인생은 예술품이 아니고, 순간은 영원할 수 없다.’

사랑하는 사람들을 모두 떠나보낸 노년의 노먼이 강을 찾아 했던 말이다. 흐르는 강물처럼 지나간 순간은 영원히 돌아올 수 없으니, 현재에 충실한 삶을 살라는 뜻으로 나는 해석하고 있다.

며칠 전, 보람된 시간을 보내기 위해 책방 수북에 다녀왔다. ‘작가와 함께 수북수북’ 강연회에 문태준 시인이 초빙되어, 기억과 서정을 주제로 독자와 함께 이야기를 나누었다. 시인은 아내의 고향인 제주 애월읍에 터를 잡은 지 3년이 되었다. 제주도에서 육지로 왔을 때 만산이 보고 싶었다는 말을 시작으로, 그의 소박한 일상을 전하면서도 기억 저편에 머물고 있던 고향과 가족과 사물에 대해 편안하게 들려주었다.

그리고 시 작법에 대해서도 말을 아끼지 않았다. 시를 쓰기 위해서는 시적인 사건이 있어야 하고, 여지를 내어 보이는 것이 시가 되는 것 같다고 했다. 자분자분 서정을 풀어내는 작가에게 나는 따뜻함을 느꼈다.

문득, 질문이 떠올랐다. 내가 생각하기에 사람들은 저마다의 가치관으로 가치 있는 삶을 살려고 노력하는 것 같다. 시인의 눈으로 봤을 때 가치 있는 삶이란 어떤 것이냐는 내 물음에 문태준 시인은 생태적인 삶을 언급했다. 작가의 시집 ‘아침은 생각한다(2022년 작)’에 실린 몇 편의 시를 예로 들며 부연했다.

 

“나는 새와 벌레가 쪼아 먹고 갉아 먹고 남긴

꾸지뽕 열매 반쪽을 얻어먹으며 별미를 길게 즐겨요”-‘별미(別味)’ 중에서 발췌

 

“우리는 울고 웃으며 풀지 않겠다는 듯 서로를 옮겨 감았다”-‘뿌리’ 중에서 발췌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것들은 공존하며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은가. 나눔과 교섭을 되풀이해서 말하는 시인에게 나는 깊은 공감을 가졌다.

지금, 봄이 오는 길목에서도 강물처럼 시간은 흐르고 있다. 모든 순간은 영원할 수 없다고 한다. 하지만 시인을 만났던 추억을 비롯해 나만의 소중했던 찰나를 기록으로 남긴다면 오래도록 나의 인생은 곰곰 반추에 반추를 거듭하며 의미 있게 보낼 수 있으리라.

Essay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