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할매카페

등록일 2023-02-22 18:07 게재일 2023-02-23 18면
스크랩버튼
이정옥위덕대 명예교수
이정옥 위덕대 명예교수

지난 주 손자의 유치원 졸업식이 있었다. 10명의 원생에 축하하러 온 학부모와 조부모가 족히 50명은 더 돼보였다. 우리만 해도 아들 내외, 우리 부부, 외조부모까지 여섯이나 됐으니….

작년 이맘때쯤이었다. 통원버스가 집 부근으로 오지 않는 유치원에 다닐 손자의 등하원을 고민하는 아들내외에게 선뜻 내가 맡겠다고 했다. 은퇴해 다소 한가하니 이참에 손자랑 시간을 보내도 좋을 듯싶었다. 매일 아침 등원과 오후 2시경의 하원을 도맡았다. 집이 가까운 데 있어 평소 자주 보던 사이지만 최소 1년간 매일 보게 됐으니 이 또한 즐겁지 않으랴 설렐 정도였다. 제일 먼저 차에 카시트를 얹고, 간식바구니를 마련해서 과자를 채웠다. 지인이 선물해 준 차량용 트레이와 쓰레기통도 장착했다. 승용차로 10분 내외의 거리였다. 그 짧은 시간에도 다정다감한 손자는 유치원에서 있었던 재미난 이야기를 해주어 얼마나 행복했는지 모른다.

나와 같은 할머니들이 두 분 더 계셨다. 특히 하원할 때 아주 잠시, 약 10분 정도 만나는 분들이었다. 아이들을 기다리는 동안 이런저런 수다를 나누다 정이 들었다. 맘카페라는 단어가 갑자기 떠올랐다. 초등학교나 유치원의 엄마들이 지역 육아정보 공유를 목적으로 만들어졌다가 점차 규모가 커진 인터넷 커뮤니티가 됐다는 정보를 귀동냥했던 터였다. 우리도 맘카페같이 할매카페 하나 만들까요? 농담 삼아 한 이야기에 모두 동의했다. 매일이다시피 만나 어느 정도 친목이 생겼기에 쉬웠다. 우린 할맘 (할mom)은 아니었다. 할맘은 부모를 대신해 전적으로 손주를 돌보는 할머니라는데, 우린 그렇게까진 아니었다. 그저 맞벌이하는 자녀의 조력자로 손주를 돌봐주러 잠시 시간 내는 그저 할매 노릇인 거였다. 그렇다고 절대 소홀할 일은 아니어서 부득이한 경우엔 할배들이 대신했다. 일 년간 아이들 친외가의 조부모를 모두 뵌 것 같다.

할매카페는 맘카페와 같이 인터넷으로 뭔가를 도모할 일은 결코 없기에 우린 오프라인에서 만나고 즐겼다. 그래도 맘카페 흉내는 냈다. 아침에 아이들 등원시킨 후 근처 브런치 맛집을 찾아 브런치를 즐기는 것으로 첫 시작을 했다. 수다의 재료는 무궁무진해 시간이 모자랄 지경이었다. 오전 10시에 들어간 카페에 오후 2시까지 있기가 죄스러울 정도였다.

내가 독감에 걸려 일주일을 쉰 적이 있었다. 문자로 문안도 하시더니 일주일 후 다시 뵙자 병치레하여 힘들었을 테니 따뜻한 칼국수를 사주시겠단다. 칼국수 맛집을 수배했다. 칼국수 대신 병 끝에 먹으면 좋다는 찹쌀수제비로 몸을 데우고 커피를 마시며 서너 시간 이야기를 나누니 오랜 친구에 진배없었다. 나잇대가 비슷하고 동시대의 경험치가 있어서인지 공감하고 감동하고 때로는 파안대소하는 얘기가 끝이 없었다.

손주들 졸업이 다가오자 우리의 만남도 끝날 것이 아쉬웠다. 애들은 졸업하지만 우리끼리 한 달에 한 번씩이라도 만날까요? 물론 다같이 찬성. 할매카페의 다음 모임은 3월 둘째 화요일이다.

이정옥의 신황금기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