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나는 한번도 도전해 보지 못했던 취미를 시작하거나 경험해 보지 못했던 새로운 일을 하며 전과 다른 방향으로 나아가고자 했다. 하지만 새해부터 새로운 일을 잔뜩 벌려 놓고 보니 사실 과거의 익숙한 것이 훨씬 나아 보이는 것 같은 생각이 들었다. 다시 예전에 했던 익숙한 일과 취미로 돌아가야 하나 망설이다보니 시작선 앞에서 한 발자국도 나아가지 못했다. 움츠리는 시간이 지속되는 동안 결국 올해 어떤 태도와 마음가짐으로 살아가야 하는 지에 대한 의문이 시작되었고 그러다 우연히 책 한권을 마주했다.
김영하의 ‘작별 인사’ 작품 속 주인공 철이는 안드로이드 휴먼이다. 철이의 아버지는 유명한 IT 회사의 연구원이며 휴머노이드를 만들어 인류의 유산을 남기고자 한다. 철저히 인간의 욕망으로 만들어진 철이는 자신이 인간이라 굳게 믿고 있으며 자신이 누구인지, 왜 살아있는지 의문도 없이 살아가다 어느 날 사건에 휘말려 수용소로 끌려가게 된다.
모든 것이 생소한 날 것 그대로의 수용소에서 철이는 금방 자신이 인간이 아님을 알게 된다. 지금까지 단 한 번도 상상조차 해보지 않았던 혹독한 현실 속에서 자기 존재를 부정하고 재정립하며 혼란스러운 과정을 겪는다. 그러면서 자신이 누구인지 잘못 알고 있다가 그 착각이 깨지는 것을 성장이라 깨닫는다.
철이는 그곳에서 자신과 비슷한 처지인 사회에서 배제된 이들을 만나 우정의 관계를 맺으며 소속감을 느끼고, 얼마 지나지 않아 자신의 데이터베이스에 추억이란 개념을 처음 입력하게 된다.
동시에 철이는 의식과 존재란 무엇이며 인간다운 삶은 무엇인지에 대한 근원적인 질문에 파고들며 자신이 속한 세계를 다시금 바라본다.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에 대한 질문 속에서 개별적인 의식을 가지고 살아있는 것은 그것만으로도 대단한 행운이므로 조금 더 나은 존재가 되도록 분투해야 한다는 결론에 도달한다.
고통과 수반된 사건은 기억되기 쉽다. 예기치 못한 순간과 갑작스런 변수는 분명 당혹스러운 것은 사실이지만 기억이라는 깊은 자국을 남긴다. 물론 편안하고 행복한 순간 또한 좋은 기억으로 자리 잡지만, 내겐 행복의 기쁨이 기억에서 차지하는 크기보다 조금 더 고통의 기억이 깊게 새겨진다.
고통과 함께 동반되는 좌절과 우울감은 분명 괴롭지만 내가 나로 존재할 수 있게 만드는 것들 중 중요한 요소가 되기도 하고, 고통 속에서의 의식은 조금 더 나은 존재가 되도록 분투하는 경험이라 생각하기 때문이다.
기억에 깊이 남은 고통의 경험은 결국 고통을 딛고 일어서는 힘이 되게 하고, 다시금 장애물 앞에 도달했을 때의 유연성과 여유를 가지게끔 한다. 고통을 이겨내 의연하게 생을 살아가는 기억의 알맹이를 여럿 갖고 있는 것이 내겐 중요하고 그것이 살아가는 데 있어 오랜 기간 써내려 갈 숙제라는 것을 다시금 깨달았다.
일본의 애니메이션 감독이자 영화감독인 미야자키 하야오의 작품 속 주인공들은 전에 없는 고난을 처음 마주했을 때, 자신이 처한 공간을 청소하는 장면으로 시작한다.
‘마녀배달부 키키’ 속에서 주인공 키키는 어린 나이에 아무 능력도 없는 채로 집을 떠나 마녀수행을 가는 장면에서 위기가 시작된다.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에서의 주인공은 어느 날 이유 없이 인간 세상과 다른 낯선 세계로 빨려 들어 가버리고 만다. 불현듯 낯선 세계에 진입한 것도 당황스럽지만 갑작스레 부모님이 돼지로 변하여 홀로 위기 속에 남겨진다.
그러한 위기 속에서 그들은 역경을 이겨내는 첫 단추로 청소를 택한다. 고통의 세계에 진입하자마자 자신이 속해 있는 공간을 깨끗하게 치우는 것부터 시작하여 사건의 위기와 절정을 지나 결론에 도달하여 씩씩하게 이야기를 완성한다.
삶의 고통 뒤에 따르는 가치는 대부분 보이지 않게 숨어 있다. 때문에 고통을 자세히 보고 사유하며 깊이 헤아려야 한다. 그러다 보면 동전의 양면처럼 고통과 가치는 아주 긴밀하게 붙어 있다는 것을 알게 되고 그러한 사실은 지금 나를 둘러싼 수많은 스트레스에 적절히 나를 던질 필요가 있다는 안도를 마주하게 된다. 고통을 향신료처럼 요리하여 고독을 즐기는 방법은 늘 생소하고 어렵지만 그래도 조금씩 나아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