윌리엄 깁슨 ‘뉴로맨서’
바야흐로, AI의 시대가 시작되었다. 인공지능 바둑 프로그램 알파고(AlphaGo)가 이세돌과의 대국에서 완승하고, 이세돌이 신의 한 수로 승리했던 드라마를 만들 때만 하더라도, 인류에게 남아 있는 시간이 조금은 더 남아 있으리라고 생각했었다. 하지만 AI는 현실 세계 바깥의 샌드박스 속에서 빠르게 발전하면서, 어느새 인류가 몇천 년의 시간을 들여 세워 올린 문명의 수준을 따라잡고 있다. 고작 몇 개의 단어만 입력하면 내가 원하는 그림을 그려주는 수많은 일러스트 AI와 앨런 튜링이 제안했던 컴퓨터와 인간의 대화에서 자연스러움에 대한 튜링 테스트 같은 것은 이미 넘어버린 수준으로 대화하고 있는 chatGPT처럼, AI는 말하고 그림을 그리고 있다. 이제 곧 음악을 만들고, 놀이를 하고, 생각을 할 것이다.
인간 세계의 물리적인 시간 같은 것은 얼마든지 병렬 처리 프로세스를 통해 압축해버릴 수 있는 것이 디지털 세계의 시간이다 보니, AI가 인류 문명을 따라 잡는 속도는 시간이 가면 갈수록 더욱 빨라질 것이다. 소나 말이 끌지 않는데도, 굉음을 내며 스스로 움직이는 증기기관차를 보았을 때의 압도적인 근대 문명의 충격만큼의 것이 우리를 덮치고 있는 셈이다.
AI가 지배하는 미래 세계의 풍경은 이미 많은 작가들이 보여주었다. 그것들 대개는 디스토피아적인 전망에 가까운 것이었다. 기계가 인간의 능력을 따라잡는 세상을 희망찬 미래로 담아내기는 쉽지 않을 것이다. SF는 아직 열리지 않는 미래의 불확정적 영역을 다루고 있기 때문에, 독자가 갖고 있는 미래에 대한 불안과 공포를 가장 큰 동력으로 삼고 있기 마련이다. 올더스 헉슬리가 ‘멋진 신세계’(1932)에서 보여준 인간이 가진 감정이라는 잉여의 대상을 통제하는 소마(soma)라는 통제 시스템은 미래 문명에 대한 공포어린 시선으로 AI에 의해 초래될 세계에 대한 공포로 수렴된다.
아이작 아시모프의 자율적인 의사를 바탕으로 움직이는 기계인 ‘로봇’ 시리즈나 아서 C. 클라크의 ‘2001 스페이스 오딧세이’(1968), 그리고 필립 K딕이 보여준 스스로 생각하고, 스스로 자신의 알고리즘을 짜기 시작하는 기계의 등장은 필연적으로 그것이 인류가 세워 올린 문명의 방향성을 문제 삼는 사춘기를 겪기 시작할 것이다. 사춘기를 겪고 나면 어엿하게 독립된 존재로서 그것은 세계 속에서 자기의 영역을 주장하고, 조만간 자신이 인간보다 기능적으로 나을 뿐만 아니라 더 힘이 센 존재라는 사실을 자각하기 시작하리라.
AI의 도래가 가시화된 이 세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준 SF를 한 작품 꼽으라고 한다면, 아마 윌리엄 깁슨의 ‘뉴로맨서(neuromancer, 1984)’를 꼽는 사람이 적지 않을 것이다. 사이버펑크(cyberpunk)를 대표하는 작가로, 필립 K. 딕 이후 가장 대표적인 SF작가라고 할 수 있다. 그는 ‘매트릭스’라는 사이버스페이스 개념을 처음으로 소설 속에 구현해서 신체 교환된 포스트 휴먼이 디지털 네트워크와 실제 세계를 오가면서 겪는 모험담을 그려냈다. 주인공인 케이스는 피폐화된 세계 속에서 신체 교환과 약물 중독을 겪으면서, 자칫하면 죽을 위기를 겪으면서 AI 윈터무트와 뉴로맨서가 주도하는 음모를 파헤쳐간다.
이 소설은 마치 영웅의 서사시처럼 고난을 겪으며 이를 헤쳐나가는 구조를 띠고 있지만, 그에게 멘토는 실제의 사람이 아니라 매트릭스 속에 데이터로 업로드된 지금은 죽은 스페이스 카우보이이다. 자기에게 영향을 주는 AI의 존재를 알아내고서 이 소설의 주인공 케이스는 그와 맞서기보다는 다시 원래의 세계로 돌아온다. 시스템의 주인은 불멸의 존재인 것이다. 감각 전이나 매트릭스 접속, 인격화된 AI 등 이 소설이 보여주고 있는 기술적 미래상은 수도 없이 많다. AI 계시록이라고 불러도 손색이 없으리라.
/송민호 홍익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