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대전∼부산 광역철도’ 구상<br/>대전~대구 구간은 기존 경부선 <br/>대구~부산, 동해·중앙선 등 활용<br/>대전 등 4개 지자체와 공동대응<br/>‘대구경북 공항공사’ 설립 추진<br/>신공항과 3개 공항 운영 관리도
경북도가 미래 실질적 성장 인프라 확충을 위해 철도교통 접근성 확보에 방점을 찍고 대전~김천~구미~대구~영천~경주~울산~부산으로 이어지는 ‘대전~부산 광역철도’를 추진할 계획이다.
경북도 건설국과 신공항추진단은 26일 신년 업무보고회를 갖고 이같은 계획을 밝혔다.
도는 대전에서 대구 구간(대전∼옥천∼영동∼추풍령∼김천∼구미∼서대구∼동대구)은 기존 경부선을 활용하면 전동차 확보와 시스템 구축, 차량기지 설치 등에 1천664억 원 정도가 들 것으로 추산한다.
대구에서 부산 구간(동대구∼하양∼영천∼아화∼신경주∼태화강∼부전)은 기존 대구선, 중앙선, 동해선을 활용한다는 구상이다. 예산은 1천335억 원 정도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한다.
도는 광역철도망 구축을 위해 수요분석을 위한 용역을 진행하고 해당 광역자치단체와 실무협의회를 구성해 오는 10월 ‘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2026∼2035)’에 반영되도록 한다는 구상이다.
대전·충북·대구·울산과 함께 공동 건의할 방침이다.
도는 군위·의성에 2030년 개항 목표인 대구경북 신공항과 연계해 대구와 경북 주요 지역을 광역철도로 연결하는 사업도 추진 중이다.
신공항 추진에 발맞춰 울릉공항은 레저, 면세산업을, 울진비행장은 한국항공교육원을 설립해 특화시키는 한편, 신공항과 도내 3개 공항의 운영·관리를 위해 ‘대구경북 공항공사’를 설립해 공항개발과 공항경제권 조성을 주도해 나가기로 했다.
또 세계유산, 세계기록유산, 인류무형문화유산 등 세계유산 그랜드 슬램을 달성한 경북의 문화관광은 천년 신라왕경 디지털 복원, 국립 세계문화유산센터 건립 등 세계 속의 K-Heritage 육성을 위한 ‘경상북도 UNESCO 세계유산 미래전략 2030’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이를 통해 도민 자긍심 고취는 물론, 글로벌 브랜드화 및 관광자원화로 지방시대를 선도하고 지역경제를 활성화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국내 베이비부머 은퇴자가 900만명을 돌파하고 생활인구 개념이 접목된 듀얼라이프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예술인 주택단지’와 ‘은퇴과학자 마을’을 만들어 천년 건축의 시범모델로 조성한다는 계획도 밝혔다.
이철우 도지사는 “경상북도가 지방시대를 주도하기 위해서는 근본적인 판을 바꾸는 획기적인 변화가 있어야 한다”며 “1차산업을 미래첨단산업으로 탈바꿈시키고 경북의 외연을 대한민국을 넘어 세계로 넓힐 수 있도록 새로운 정책개발에 총력을 쏟겠다”고 말했다 /이창훈기자 myway@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