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평화를 주문처럼

등록일 2023-01-01 16:36 게재일 2023-01-02 21면
스크랩버튼
이희정 시인

하루를 살아도

온 세상이 평화롭게

이틀을 살더라도

사흘을 살더라도 평화롭게

그런 날들이

그날들이

영원토록 평화롭게

 김종삼, ‘平和롭게’ 전문

한겨울 정신이 번쩍 드는 추위 속에 새해는 온다. 첫해, 첫날의 ‘첫’이라는 외자가 새 희망을 향한 각오로 들리지 않는가. 저마다 새해엔 지난해보다 더 나아질 거란 기대로 이른 새벽 일출에 기대어 소원을 빌곤 한다.

새 술을 새 부대에 담듯 새해 첫술로 김종삼 시인의 ‘평화롭게’를 올린다. 학기를 모두 마치던 날, 존경하는 은사님이 주문처럼 얹어 주신 글이다. 벽에 걸어 두고 마음이 분주할 때마다 읊조려 본다. 평화(平和)가 방 안 가득 울리는 듯하다. 언제나 끝은 출발이 예정된 길이기에 새 걸음으로 나아가라는 희망과 함께.

모든 예술은 음악의 상태를 동경한다고 한다. 우리가 숨 쉬는 동안 움직이는 모든 것들에는 리듬이 숨어 있다. 길가의 나무에도, 새근새근 잠든 아가의 숨소리에도, 함박눈 펑펑 쌓인 마당을 뛰어다니는 강아지의 통통 튀는 네 발에도 있다. 남다른 리듬감으로 짧은 시어를 견인하는 시인을 따라 소리 내어 노래하듯 ‘평화’를 불러내 보자.

시인이 부르는 평화는 단순하고 순수한 듯하나 그를 바라보는 우리는 단순하지도 순수하지도 않다. ‘평화’는 화자의 영혼에 찾아와 끊임없이 평화롭지 못한 평화를 확인시켜주는 듯 짧은 어휘를 통해 거듭 강조하고 있으니까. 이런 의식은 길지 않은 행간을 담담하게 지난다. “하루를 살더라도”라는 간구는 평화가 없을 것이라는 절박한 의식으로도 들린다. 화자가 반복하는 평화와 평화가 마주 보는 눈은 온화하지만, 녹록지 않은 세상을 몸으로 살아낸 시인은 주문처럼 평화를 읊었는지도 모른다.

김종삼(1921~1984)은 우리 시에서 ‘순도 높은 순수시’를 쓴 한국 시문학사에서도 가장 뛰어난 시인의 한 사람으로 서슴없이 손꼽히는 인물이다. 평생 단칸방 월세살이에서 벗어나 보지 못했던 그에게 현실적으로 창작의 공간 같은 것은 허락되지 않았을 터. 그에게는 종교적 신앙생활에 비견될 수 있었던 술과 음악에의 탐닉, 그 의식 아닌 의식의 시간만이 유일하게 허락된 창작공간이자 시작의 모든 과정이었을 것이다.

그는 말한다. 시는 가난과 소외 속에서도 선량하게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힘과 위안이 되어야 한다고, 시가 하나의 말씀이고 복음이어야 한다고. 다시 호흡을 맞추어 가볍게 낭송해 보자. 시인이 바라 마지않은‘평화’가 평화롭기 그지없이 혀끝에서 울리지 않는가.

시인이 말하는 평화는 먼 곳에 있지 않다. 첫눈 오는 날 연인들에게도, 곁이 되는 문장의 밑줄에도, 시골 마을 굴뚝마다 피어오르는 밥 짓는 연기에도, 새벽을 달리는 배송 기사의 바쁜 걸음에도, 완생을 꿈꾸며 사지선다를 읽는 미생의 독방에도 평화는 두루 미친다.

‘평화’를 주문처럼 외다 보니 어느 경제학자의 시에 대한 한 줄 감상이 떠오른다. 시에는 경제성이 있다고. 시는 살림을 잘 살아서 짧게 축약된 몇 행 안에 넓고도 먼 보폭의 사유를 숨기듯 잘 담아낸다고. 세상 어디에서도 찾을 수 없는 종류의 위안으로 온기 있는 겨울을 날 수 있다고 말이다.

새해에는 움츠렸던 살림이, 사람 사이 접혔던 주름이 포근하게 펴지면 좋겠다. 몸이 추우면 마음도 추워질 테니까. 가까이에서부터 저 먼 곳의 평화가 오는 것처럼 누군가 있는 먼 걸음까지 새해, 새날, 새마음의 평화가 ‘평화롭게’닿기를 주문처럼 외워본다.

“하루를 살아도, 이틀을 살더라도, 사흘을 살더라도”

◇ 이희정 시인 약력 ·2019년 경상일보 신춘문예 등단 ·시집 ‘내 오랜 이웃의 문장들’

이희정의 월요일은 詩처럼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