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8개 구·군청 중식시간 휴무제 뜨거운 논란<br/>홍준표 시장 “시민 곤란하게 만드는 일… 공직사회 도리아냐”<br/>공무원 노조 “무한봉사 강요, 박봉 공무원 노동권 존중해야”
‘점심시간 민원실 휴무제’에 대한 논란이 뜨겁다.
대구시 8개 구·군이 오는 2023년도 4월부터 시범 도입 예정인 가운데 홍준표 대구시장이 반대 입장을 밝히고 나섰다. 반면 공무원 노조는 당초 약속보다 시행 범위가 축소됐다며 비판 입장을 내놨다.
앞서 대구시내 8개 구·군 단체장은 지난 14일 구청장·군수협의회를 열고 내년 4월부터 6개월 간 본청 민원실에 점심시간 휴무제를 시범 운영하기로 했다.
휴무제 적용대상은 본청 공무원이며, 본청을 찾는 민원인이 적은 데다 무인발급기가 설치돼 있어 큰 불편을 초래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판단이 근거가 됐다.
이 시간에도 무인발급기에서 주민등록 등·초본, 가족관계증명서 등 기본적인 서류를 발급받을 수 있다. 단, 상시운영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세무과와 여권발급창구에서 근무하는 직원은 휴무제 시범 적용 대상에서 제외될 예정이다. 동 행정복지센터 역시 기존과 마찬가지로 점심 시간에도 민원 서비스를 교대로 운영한다. 8개 구·군은 내년 10월, 휴무제 시범 운영에 대한 평가를 진행해 추가 적용 여부를 검토한다는 방침이다.
휴무제 도입 필요성을 처음 주장한 단체장은 윤석준 동구청장은 “현재 점심 시간에 본청을 찾는 민원인이 많지 않아 제도 시행에 큰 무리가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휴식 보장으로 직원들이 더 힘을 내는 만큼 민원 서비스도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휴무제 도입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에 대해 홍준표 대구시장은 지난 16일 SNS를 통해 “구·군 민원실 중식시간 휴무제는 잘못된 조치”라며 “대구시 본청은 그럴 일 없다”고 못 박았다.
홍 시장은 “공무원은 국민 전체의 봉사자이고 국민 세금으로 급여를 받는 국민에 대한 무한 봉사자”라며 “최근 대구시 구·군 일부에서 점심시간에 민원실 셔터를 내리겠다고 결정한 것은 생업에 종사하다가 점심시간에 짬을 내 민원을 보러 오는 시민들을 곤란하게 만드는 대단히 잘못된 조치”라고 지적했다.
이어 “점심시간에 교대 근무라도 해서 민원의 공백이 없어야지 일부 공무원 노조에서 시위를 한다고 해서 점심시간에 민원실을 폐쇄한다는 것은 공직 사회 기본 도리에 관한 문제”라고 덧붙였다. 또 “대구시 본청은 그런 일이 없지만 구·군도 대구 시민에 대한 무한 봉사자로서 우리가 좀 더 고생하는게 시민이 행복한 길이 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반면 전국공무원노동조합 대구본부는 17일 성명서를 내고 “조재구 남구청장(구청장·군수 협의회장)이 당초 약속했던 것과 내용이 다르다. 처음에는 읍·면·동 행정복지센터도 점심 휴무를 시행한다는 계획이었다”고 반발했다.
노조는 “‘반드시 합의를 이끌어 내겠다’던 조 청장이 회의 이후 읍·면·동 복지센터는 휴무 대상에서 제외한는 안을 일방적으로 공표했다. 노조를 기만하고 노사관계의 기본적 사항을 인지하지 못하는 무지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지적했다.
노조는 또 점심시간 휴무제 반대 입장을 밝힌 홍준표 대구시장도 비판했다. 노조는 “홍 시장은 세금 운운하며 무한 봉사를 강요하고 있다. 박봉을 받고 일하는 청년 공무원들에게 점심시간 1시간 휴식은 단지 배고픔을 면하기 위한 시간이 아니다”며 “공무원 노동자가 스스로 자신의 노동권을 존중할 수 있어야 모든 노동자의 노동권도 존중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노조는 본청과 읍·면·동 행정복지센터를 포함한 8개 구·군의 점심 휴무제 전면 실시를 위한 투쟁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김재욱기자 kimjw@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