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비소집·당일 유의사항 꼼꼼히<br/>코로나 증상땐 별도 고사장 시험<br/>17일 오전 8시10분까지 입실 ‘꼭’
2023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드디어 16일 예비소집에 이어 17일 치러진다. 지역에선 경북 1만9천877명, 대구 2만4천363명 등 총 4만4천240명이 응시생이다. 전국적으론 총 50만8천30명으로, 이는 지난해 접수자 50만9천821명보다 1천791명 감소했다.
지역 수험생들은 대구(49곳), 포항·구미(각 14곳), 안동(10곳), 경주·경산(각 8곳), 김천(7곳), 상주(6곳) 등에 마련된 고사장에서 오전 8시40분부터 시험을 본다. 수험생들은 예비소집일과 수능 당일 유의사항을 반드시 숙지하고 고사장에 가야 한다.
△예비소집일 참석해 수험표 수령
코로나19 방역관리로 인해 시험 당일 시험장에서의 임시수험표 발부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므로, 원활한 응시를 위해 모든 수험생은 예비소집 장소에 오후 2시까지 도착해 자신의 수험표를 받아야 한다. 격리 수험생은 직계 가족 또는 관계를 증명할 수 있는 자가 수험표를 대리 수령할 수 있다.
수험표를 교부받은 후에는 선택 영역과 과목, 본인의 시험장 및 시험실 위치를 미리 확인해 수능 당일 당황하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
현재 고등학교 3학년 재학생은 각자 자신의 학교에서 수험표를 받고, 졸업생 등은 교육청에서 지정한 장소를 찾아 현장에서 받을 수 있다.
△코로나19 양성일 시 담당 교육청에 보고
수능 전날 코로나19 의심증상이 있어 병·의원 또는 보건소 선별진료소에서 검사를 받는 학생은 신속한 조치를 위해 검사기관에 자신이 수능 응시생임을 밝혀야 하며, 양성판정 시 검사 결과를 관할 교육청에 즉시 알려야 한다. 또한, 가급적 유전자증폭(PCR) 검사가 아닌 신속항원 검사를 받아 빠르게 결과를 확인하는 것이 좋다.
검사 결과를 전달받은 교육청은 별도 시험장 배치 등 원활한 응시지원을 돕는다.
모든 수험생은 시험장 내에서 마스크 착용 등 방역 지침을 반드시 준수해야 하며, 불응 시 응시 제한 등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
시험장 방역 지침에 따라 수험생은 다른 환경에서 시험을 치를 수 있다.
△수능 당일 8시10분까지 입실해야
수능일엔 17일 오전 6시 30분부터 8시 10분까지 지정된 시험실에 입실해 본인의 수험번호가 부착된 좌석에 앉아 대기한다. 시험이 시작된 후에는 시험실에 들어갈 수 없으므로 특별히 유념하도록 한다.
1교시를 선택하지 않은 수험생의 경우에도 8시 10분까지 지정된 시험실에 입실한 후, 감독관의 안내에 따라 지정 대기실로 이동해야 한다.
준비령이 울리고 문제지를 배부받은 후에는 시험시작 전 문제 풀이 등을 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
3교시 영어 영역은 본령 없이 바로 듣기평가 방송이 시작돼 착오가 없도록 한다.
△반입 금지·가능 물품
수험생들은 수능시험 당일에는 수험표와 사진이 부착된 신분증을 반드시 지참해야 한다.
시험장 반입 금지 물품인 휴대전화, 스마트 기기(스마트워치, 블루투스 이어폰 등), 디지털 카메라, 전자사전, MP3 재생기, 태블릿 PC, 카메라펜 등 전자·통신·결제 기능이 있는 전자기기를 반입하지 않도록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 시험시간은 물론 쉬는 시간에도 적발 시 부정행위 처리되니 1교시 시작 전 감독관에게 제출하는게 좋다. 압수 조치에 불응하는 경우 부정행위로 간주한다.
/김민지기자 mangchi@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