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징비록의 교훈

등록일 2022-11-06 17:48 게재일 2022-11-07 19면
스크랩버튼
우정구 논설위원
우정구 논설위원

징비록(懲毖錄)은 임진왜란 당시 영의정과 군무를 총괄하는 도체찰사 직위에 있었던 서애 류성룡이 전쟁이 끝나고 고향으로 돌아와 쓴 책이다. 국정과 군무의 최고 책임자였기에 7년에 걸친 임진왜란의 원인과 전황, 조선과 일본·명나라와의 외교관계, 전투성과, 백성의 생활상 등에 대해 비교적 상세한 기록을 남겼다.

특히 그는 전쟁 전의 배경에 대해서도 자세히 기술해 전쟁을 미리 막지 못한 것에 대한 반성의 메시지도 책에 담았다. 또 책은 임진왜란을 자국 중심으로 바라보았던 중국과 일본의 왜곡된 역사관을 바로잡는데도 크게 기여했다. 그는 “난중의 일은 부끄러울 따름이다”라고 적어 스스로 반성한다는 뜻을 책에서 밝혔다.

역사학자 에드워드 카는 “역사는 과거와 현재의 끊임없는 대화”라고 말했으나 그 속에서 우리가 건질 수 있는 것은 교훈을 얻는 데 있다. 징비록을 쓴 류성룡은 비록 남인이라는 정파의 일원이었지만 임란의 역사적 사실에 대해서는 비교적 객관적으로 기술했다.

역사학자 토인비는 “지난 역사에서 교훈을 얻지 못하는 민족은 그 비극의 역사를 되풀이해 당할 것”이라 말했다.

북한의 미사일 도발로 한반도의 위기감이 점증하는 분위기다. 한미 국방장관이 만나 “미국의 전략자산을 한국에 적시적으로 전개할 것”을 밝혔으나 북한의 비상식적 도발 행위로 보아 북한의 핵능력 고도화 의지를 얼마나 억제할지는 미지수다.

징비는 “잘못을 미리 징계하여 후환을 경계하자”는 뜻이다. 임진왜란은 우리 민족이 기억하는 가장 참혹한 재앙의 역사적 사건이다. 징비록이 남긴 역사적 교훈을 반면교사 삼아 안보 경각심을 일깨워야 한다. 재난을 한번 당하고도 대비하지 않는 어리석음은 없어야 한다. /우정구(논설위원)

팔면경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