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도사린 위험’ 행사장 안전사고… 선제 조치가 답

피현진기자
등록일 2022-10-30 20:24 게재일 2022-10-31 1면
스크랩버튼
이태원 참사, 2005년 11명 사망·109명 부상 피해 ‘상주 사고’와 닮아 <br/>‘마스크 해제’ 후 수십만 몰리는 지역 축제장 등 ‘반복 사고’ 위험 여전<br/> 전문가들 “지자체 등 안전기준 마련… 통제 인력 최대한 투입” 조언

서울 용산구 이태원 참사로 많은 사람이 모이는 각종 지역 축제나 행사장에 대한 안전사고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특히 경북지역에서도 크고 작은 행사장 안전사고가 잇따라 발생하는 등 안전사고 위험이 높은 것으로 지적되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지난 2005년 10월 3일 오후 5시40분쯤 경북 상주시 계산동 상주시민운동장 직3문 입구에서 상주 자전거 축제 행사의 일환으로 진행된 공연을 보기 위해 5천여 명이 한꺼번에 몰리면서 11명이 사망하고 109명이 부상을 당한 사고가 있었다.

당시 상주시민운동장 1층의 직3문 출입구가 열리고 앞줄의 노인과 어린이들이 들어가려는 순간 뒤에 있던 관객들이 먼저 들어가려고 밀치면서 압사사고가 발생했다. 뒤에 있던 관객들은 앞쪽에서 사람들이 넘어진 사실도 모른 채 10여 분 동안 계속 밀어붙여 피해가 커졌다.

이 같은 사고는 코로나19 거리두기 전면 해제 이후 처음으로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는 축제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되면서 경북 지역에서 개최예정이거나 개최된 축제 등 행사에서도 언제든지 일어날 수 있다.

올해 경북지역에서 열린 축제에서 각 지자체 방문객 수를 살펴보면 적게는 몇만에서 수십만에 가까운 인파가 축제장을 찾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최근 각 방송국에서 진행한 오디션프로그램 출연진 중 인기 출연진들이 지역 축제장 곳곳에 초대돼 공연에 나서면서 이를 보기 위한 팬클럽들과 관객이 무대 주변으로 한꺼번에 몰리는 등 압사 사고 위험에 노출돼 있다.

전문가들은 대형 압사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인력 통제 등 안전조치가 강화돼야 할 것으로 지적했다. 2005년 상주 사고 당시 공연 주최측이 시민들의 무질서를 부추긴 점이 사고의 원인으로 분석됐다. 당시 경찰관 14명과 경비용역업체 직원 25명, 아르바이트생 50명 등 현장 관리자가 90여 명에 불과해 현장 통제 능력이 없었다는 문제점이 지적됐다.

안전문화실천운동 한 관계자는 “지자체 등 행사 주최 업체는 행사의 안전기준을 마련하고, 그 기준이 초과되지는 않는지 살펴야 한다. 또한, 경찰·소방·시민단체 등과 협의를 통해 최대한 많은 인력이 행사장 곳곳에서 통제에 나서야 피해를 최소한으로 예방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한편, 경북도는 이태원 참사와 관련 30일 오전 김학홍 행정부시사 주재로 긴급비상대책회의를 열고, 경북도민 피해자를 확인 및 대민 지원을 위한 대책을 세우기로 했다. 또한, 특별안전점검반을 가동해 도내 모든 축제에 대한 안전 점검에 나서기로 했다.

김학홍 부지사는 “특별안전점검반을 구성해 도내 시·군에서 열리는 축제 뿐아니라 다중이 모이는 자리 등에 대한 특별 점검을 하고 시설 및 운영 미비에 대해서는 즉시 계도 및 시정하도록 해달라”고 주문했다.

이철우 도지사도 이번 참사와 관련 베트남, 태국 등에서 진행한 신남방 글로벌 유통시장 개척 일정을 취소하고 귀국을 서두르고 있다.

/피현진기자 phj@kbmaeil.com

사회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