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해현장 안전지킴이 역할 ‘톡톡’본부대와 4개 지대 162명 활동
27일 경북도에 따르면 경북안전기동대는 2010년 구제역, 동해안 폭설, 경주지진 등의 대형재난 사고 발생에 따라 2011년 결성돼 현재 본부대 및 4개 지대(동부·중부·남부·북부)로 162명이 활동하고 있다. 이들은 지역 내에서 각종 재난이 발생할 때마다 출동해 피해 복구와 확산 방지에 매진하는 등 10년이 넘는 기간 동안 지역의 굵직한 재난의 현장에서 굵은 땀방울을 흘려왔다.
특히, 대원 대부분이 자영업이나 택시운송업 등에 종사해 급작스런 출동 요청에도 응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또한, 전원이 응급처치나 무선통신, 미장·도배, 전기·보일러 등 재난·안전 관련 자격증을 1종 이상 보유하고, 각종 보수교육과 소양교육·전문교육을 통해 역량 강화에도 힘쓰고 있다.
장비 면에서도 1t탑차와 업무용 무전기, 고압 세척기, 방역 분무기, 등짐펌프 등을 자체 보유하고 있어, 지역에서 발생하는 각종 재난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태세를 상시 갖추고 있어 피해지역의 지자체에서 먼저 안전기동대의 원조를 요청한 사례도 생겨나고 있다.
유재용 경북안전기동대장은 “우리는 단순 자율과는 다른 의무감으로 무장된 민간단체로서 지자체에서 바로 도움을 주기 어려운 험한 곳까지 기꺼이 달려가 재난 피해의 최소화와 신속한 복구를 돕고 있다”며 “10년 이상 쌓아온 현장에서의 경험을 살려 전 대원이 앞으로도 도민의 안전을 위해 어디든 달려가겠다”고 강조했다.
/피현진기자
phj@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