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지역 과속방치턱 관리 소홀<br/>도색 벗겨지고 파손 ‘불량 수두룩’<br/>턱 높이 제각각… 운전 불편 지적<br/>시, 年 1억 투입 정비에도 역부족<br/>즉시 보수 어려워 현황파악 필요
교통사고와 과속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한 과속방지턱이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아 운전자 불편을 야기하고 있어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국토교통부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지침에 따르면 과속방지턱은 폭 3.6m, 높이 10㎝ 이하로 제작하고 차량 통행 속도를 시속 30㎞ 이하로 제한할 필요가 있는 구간에 도로·교통 상황과 지역 조건 등을 검토해 도로 관리청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장소에 한해 최소로 설치해야 하며 반사성 도료를 사용해 눈에 잘 띄도록 해야한다.
하지만 이같은 기준은 법령이 아닌 지침에 불과해 이를 지키지 않는 경우가 많다.
지난달 29일 포항시 일대를 둘러본 결과 도색이 벗겨지거나 표면이 파손된 과속방지턱이 적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포항시 남구 상도동 포항 시외버스터미널 인근 도로 350m 구간에 설치된 5개의 과속방지턱은 방지턱 사이 거리가 짧은데다 곳곳에 도색이 벗겨져 있었다. 일부 방지턱은 표면이 파손돼 차량이 지날 때 둔탁한 소리가 나기도 했다. 남구 상대동의 한 도로에 있는 방지턱은 도로와 차량이 부딪혀 생긴 긁힌 자국을 볼 수 있었다.
북구 죽도동에 설치된 과속방지턱은 도색이 대부분 지워져 도로와 분간이 어려울 정도였다. 과속방지턱 전방에 설치된 안내 표지판은 전신주에 가려져 있어 제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었다.
이 때문에 운전자들은 과속방지턱으로 인한 불편함을 지적했다.
운전자 이성호(47)씨는 “교통 안전이라는 취지에 공감하지만 종종 너무 높은 방지턱을 넘을 때 충격에 놀랄 때가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포항시 남구청 관계자는 “과속방지턱의 경우 현황파악과 북구에 어려운 부분이 있다. 별도로 파악하고 있지는 않다”며 “매년 1억여원의 예산을 책정해 방지턱 설치 및 정비를 정비를 통해 북구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이라고 말했다.
도로교통공단 경북지부 관계자는 “예산과 인력 문제로 도색과 과속방지턱 정비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며 “우선 방지턱 현황을 파악한 뒤에 유지 및 관리 계획을 수립해 이행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주형기자 mirae5702@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