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추석 잊은 포항… 전국서 달려와 아픔 나눴다

전준혁·피현진기자
등록일 2022-09-12 20:12 게재일 2022-09-13 1면
스크랩버튼
부산·대구·울산·전남 등 전국 각지·각계각층서 ‘희망의 손길’<br/>급식 지원·전기시설 복구·쓰레기 수거 등에  힘 보태며 구슬땀<br/>주택·상가·공공시설 등 3천933곳 응급 복구 완료 ‘복구율 49%’
추석 연휴 마지막 날인 12일 태풍 힌남노로 1천여 가구의 침수 피해가 발생한 포항시 남구 대송면 골목길에 쓰레기로 변해버린 가재도구가 산더미처럼 쌓여 있다. /이용선기자

제11호 태풍 ‘힌남노’로 발생한 피해 복구를 위해 군 장병, 자원봉사자와 자생단체, 공무원 등 하루평균 5천명이 추석 연휴 기간에도 피해 복구에 구슬땀을 흘리며 희망의 불씨를 이어갔다.

<관련기사 4, 5면>

12일 포항시에 따르면 태풍 ‘힌남노’에 따른 기록적인 폭우로 대송면을 중심으로 오천읍·동해면 등 남구지역 대다수의 읍면지역을 비롯해 도심 곳곳에서 대규모의 피해가 발생했다. 현재까지 잠정집계 결과 1만4천여 곳에 이르는 도로와 주택 및 상가가 침수됐고 8천여 대의 차량이 침수피해를 입는 등 추산된 피해액만 약 2조 원에 달하며, 정확한 피해조사가 완료되면 피해액은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추석 연휴 마지막 날인 12일 태풍 힌남노 피해 지역인 포항시 남구 대송면에 비가 내리자 자원봉사자들이 비닐봉지로 머리만 가린 채 빨래를 이어가고 있다. /이용선기자 photokid@kbmaeil.com
추석 연휴 마지막 날인 12일 태풍 힌남노 피해 지역인 포항시 남구 대송면에 비가 내리자 자원봉사자들이 비닐봉지로 머리만 가린 채 빨래를 이어가고 있다. /이용선기자 photokid@kbmaeil.com

이런 가운데 전국 각지에서 달려온 자원봉사자들이 급식 지원, 전기시설 복구 등 다양한 피해 복구 봉사와 함께 태풍으로 발생한 막대한 생활 쓰레기의 수거 등 환경정비에 땀방울을 흘리고 있다.

추석 연휴 기간 동안 해병대 전우회와 부산과 대구, 울산 등 전국에서 온 개인 봉사자, 전남와 경북, 정선군 등 전국 각지의 자원봉사센터 회원, 한국전기공사협회와 한국전기기술인협회 경상북도회 회원, 영일만서포터즈 봉사단, 도배 봉사단인 바르미, 포항대 간호학과 삼성전자서비스센터, 경북도의회 총무팀 등 각계각층의 다양한 봉사자들이 피해 복구에 큰 힘을 보탰다.

특히, 바르게살기운동 포항시협의회와 희망브릿지에서는 추석 당일을 비롯해 연휴 기간 내내 피해 지역과 주택을 정리하고 세탁 봉사 등에 적극 나서며 태풍 피해를 입은 주민들의 아픔을 함께 나누고 피해를 복구하는데 일조했다.

11일에도 양산한마음봉사단, 국민의힘 울진군 당협위원회, 포항시새마을 부녀회, 부학사랑회, 적십자사 포항지회와 경남지사, 경상북도자원봉사센터, 대구에서 온 경찰 봉사단 및 개인봉사자들이 제철동와 오천읍 등을 찾아 피해 가옥을 정리하고, 세탁과 급식 지원 등에 구슬땀을 흘렸다. 연휴 막바지인 12일 역시 포항시농업인단체협의회, 환동해산업연구원, 장애인체육회, 농식품유통교육진흥원, 포항테크노파크, 경북도와 칠곡·영덕의 자율방재단, 경주방범순찰대, 경북문화재단, 포항시도시재생센터, 흥해거점자원봉사센터, 경북도의회 등 다양한 기관·단체에서도 쓰레기와 부유물을 제거하는 등 피해 조기 복구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

추석 연휴 마지막 날인 12일 태풍 힌남노 피해 지역인 포항시 남구 대송면에서 할머니와 손녀가 지급받은 생수를 옮기고 있다. /이용선기자 photokid@kbmaeil.com

경북도는 지난 7일 경북도는 현장지원본부(3개반, 10명)를 포항시청 대회의실에 꾸리고, 총괄지원반·응급복구지원반·생활안정지원반을 구성해 피해복구와 생활안정을 위해 장비와 인력지원, 이재민구호, 방역 등을 지원하고 있으며, 8일 포항에 이어 경주와 포항철강산업단지 관리공단에도 각각 현장지원본부를 꾸리고 지원인력을 파견했다.

이같은 노력으로 12일 오전 7시 기준 응급복구 대상 주택과 상가·공장 및 공공시설 8천16곳 중 3천933곳이 복구를 완료해 약 49%의 복구율을 나타냈다. 이중 공공시설의 경우 1천461곳 중 1천315곳의 응급 복구가 완료돼 90%의 복구율을 보였으며, 주택 등 사유시설은 6천555곳 중 2천618곳이 응급 복구를 마쳤다. /전준혁·피현진기자

사회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