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주변에서 더 이상 책을 가까이 하지 않는 세대들의 등장과 그로부터 초래된 문해력의 위기에 대한 우려들이 심심치 않게 들려오곤 한다. 한 세대 내에서 일상적으로 쓰던 말들이 점차 시간이 지나면서 새로운 말들로 채워지는 것은 한 세대가 스러지고 다음 세대가 등장하는 당연한 시대의 변화에 해당한다. 그럼에도 이 위기에 대한 예감을 단지 그냥 지나치기 어려운 것은 이 위기가 자연스러운 변화라기보다는 인류가 지금까지 세워 올리고 영위해왔던 문명들이 본질적으로 바뀌어 가는 것이 아닌가 하는 진단에서 비롯된다.
지금 우리에게 제기되고 있는 문해력의 위기에 대한 진단은 인류가 구축해온 문명들이 동시에 변곡점을 지나가고 있는 상황과 관련되어 있다. 전세계적인 상황으로 당연히 책이라는 미디어가 이끈 문자와 서사의 문명의 변화이고, 다른 하나는 동아시아적인 상황으로 한자라는 중국에서 기원한 문자를 중심으로 형성된 한자 문명의 변화일 것이다. 공교롭게도 이 두 가지 층위의 문명들이 지금 여기 한국에서 어딘가 그 형태를 드러내지 않는 새로운 문명을 향해 전이해가고 있는 상황이 지금 제기되고 있는 문해력의 위기의 문명적 기반이다.
종이가 낱낱으로 흩어지지 않게 한 쪽 끝을 묶어 고정시킨다고 하는 간단한 아이디어에 불과했던 책이라는 미디어가 기반이 되어 쌓이기 시작한 인류의 지식은 지금 우리의 인간다운 문명을 보증하는 가장 강력한 근거로 작용해왔다. 사실 이는 문자의 문명이라기보다는 서사의 문명이라고 불러야 할 것인데, 종이 낱장이 아닌 300페이지 정도 되는 책을 통해 인간이 가지고 있는 생각을 길게 이어붙여 표현하는 과정을 통해 인간의 지적 능력을 축적하고 확인하는 과정은 이뤄질 수 있었기 때문이다. 물론 지금처럼 빠르게 정보를 습득하고 반응하는 것이 미덕인 시대에 책 한 권을 읽고 정보를 얻는다는 것은 비효율적이다. 내가 원하는 정보에 닿기 위해 서론부터 읽어야 하는 것 역시 비효율적이다. 지금 책이라는 미디어 문명이 겪고 있는 위기와 변화의 요체는 바로 여기에 있다.
동아시아적인 상황에 국한해서 한자 문명이 겪고 있는 위기는 조금 국면이 다르다. 지금 우리가 쓰고 있는 개념들은 대부분 한자어로, 조선시대 이래로 내려온 개념들과 서구의 새로운 문명의 개념들을 번역하는 과정에서 만들어진 것들이 한자표기가 아니라 한글로만 표기되고 있는 것들이다. 하지만, 이제는 어떤 개념을 받아들일 때 그 한자어의 한자 의미를 떠올려 의미를 파악하는 사람들이 아니라 오히려 영어를 떠올려 파악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가능성’이라는 단어를 이해할 때 ‘可能性’이 아니라 ‘possibility’를 떠올리면 오히려 이해가 더 분명해지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는 것. 한자교육을 강화한다는 식으로 문명의 시계를 거꾸로 돌리는 것이 비효율적이라는 이유 또한 여기에 있을 것이다.
하나의 책을 읽는 데는 자주 어려움이 발생한다. 툭툭 튀어나오는 어려운 단어들 때문에 사전을 계속 찾아봐야 한다는 문제가 비교적 사소한 것이라면, 책을 쓴 사람의 생각, 이른바 주제를 알아내기 위해 길고도 지루하기 짝이 없는 긴 독해의 과정을, 서사를 받아들이는 과정을 견뎌내야 한다는 것은 본질적인 어려움이다. 그 힘든 과정을 견뎌야 할 만한 가치가 있는가 하는 판단의 변화가 바로 지금 우리가 겪고 있는 문명의 변곡이 가지고 있는 요체이다. 내가 원하는 정보를 언제나 바로 접할 수 있는 시대에 그 길고 지루한 과정을 참아내는 것은 비효율적이고, 비효율성만큼 지금 시대에 어울리지 않는 단어는 또 없는 것이다. 매클루언이나 플루서 같은 미디어 학자들이 진단하고 있듯, 문자와 책, 글쓰기 같은 문명들은 서서히 저물어가고 있다. 이제는 새로운 시대에 ‘책’, 혹은 ‘책읽기’에 대해 고민해봐야 할 시점이다. /홍익대 교수 송민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