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지자체 1조7천억원·6천800억원 규모 제2회 추경예산안 편성<br/>저소득층 생활지원금·안동사랑상품권 발행 ‘서민경제 맞춤 지원’<br/>곤충·양잠산업 거점단지 조성 설계비 ‘미래 먹거리 발굴 투자’ 등
[안동·예천] 안동시와 예천군이 각각 1조7천억 원대, 6천800억 원대 제2회 추가경정예산안을 편성했다.
안동시는 올해 제2회 추가경정예산안을 3천300억 원 규모로 편성해 안동시의회에 제출했다. 이로써 안동시의 올해 예산규모는 1조7천650억 원으로 증가했다.
29일 안동시에 따르면 일반회계는 기정예산보다 3천163억 원이 늘어 1조5천982억 원으로 커졌고, 상·하수도 공기업 회계 등 특별회계도 137억 원이 늘어 1천668억 원으로 증가했다. 일반회계 세입은 자체수입인 지방세와 세외수입이 110억 원 정도 증가했고, 지방교부세와 국·도비 보조금, 조정교부금 등 의존수입이 2천517억 원, 순세계 잉여금 등 보전수입도 536억 원 늘어 일반회계만 3천163억 원의 세입변동이 발생했다.
안동시는 이를 토대로 소상공인, 농업인 등에 대한 맞춤형 지원과 스포츠 관광을 포함한 관광 분야 다변화, 그 밖에 현안 사업 위주로 연도 내 추진과 집행 가능성에 중점을 두고 세출예산을 편성했다.
특히 침체한 서민경제에 맞춤형 지원을 위해 코로나19 관련 격리자 생활지원비 53억 원과 저소득층 한시 긴급생활지원금 44억 원, 안동사랑상품권 발행 및 운영 38억 원 등을 반영했다.
또한, 클린시티 조성을 위해 생활폐기물 처리비 6억 원, 클린하우스 시설 설치 및 보수(개선) 1억 원 등, 스포츠 관광 기틀 마련과 대중교통 개선을 위해 생활체육시설 설치 및 보수 26억 원과 비수익노선 손실보상금 30억 원, 행복택시 운행지원금 3억 원 등을 편성했다.
권기창 안동시장은 “이번 추경은 고유가·고물가로 인한 국·내외 경기침체, 정부 재정정책 변화 등 세수의 불확실성이 높아지고 있는 현실에서 안정적인 재정 운용과 침체한 지역경제 회복에 깊은 고민을 하며 편성했다”며 “예산이 확정되는 즉시 집행 절차에 들어가 시민들의 고충을 최대한 해소하고 활력 넘치는 성장도시, 함께 만드는 희망 안동이 되도록 행정력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예천군도 29일 6천829억 원 규모 2022년 제2회 추가경정예산(안)을 군의회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이번 추경예산(안)은 민선 8기 출범에 따른 지역 신성장 동력 마련과 원도심·신도시의 상생 발전 및 지역 정주여건 개선에 중점을 두고 편성했다.
주요 내용으로는 미래 먹거리 사업 발굴을 위한 △곤충·양잠산업 거점단지 조성 설계비 10억 원 △공격적인 투자유치를 위한 군유지 활용 군관리계획 용역 4천만 원 △시책개발계획 수립 용역 5천만 원 등 각종 용역예산을 적극 반영했다.
또한 △군립 박서보 미술관 건립 국제설계공모 관리용역 3억5천만 원 △아이사랑안심케어센터 조성 등 도시재생사업 26억 원 △다함께돌봄센터 및 장난감도서관 설치 3억 원 등 원도심 활성화 예산과 △신도시 내 AI 레이더 센서 기반 스마트 횡단보도 구축 10억 원 △신도시 복합커뮤니티 센터 건립 마무리 사업비 5억 원 등 살고 싶은 명품 신도시 조성을 위한 사업비를 반영해 원도심과 신도시의 상생 발전을 도모했다.
보다 살기 좋은 예천을 만들기 위한 △공공산후조리원 기본계획 수립 2천만 원 △군 소음 피해 보상금 20억 원 △낙동강수계 풍양취수장 시설개선사업 9억 원 △주민 불편사항 해소를 위한 주민숙원사업 116억 원 등을 반영해 기본적인 지역 정주여건 개선 예산도 편성했다.
김학동 예천군수는 “이번 추경예산을 통해 예천군의 미래 발전 성장 동력 확보를 위한 계획을 철저히 수립한 후 2023년부터 본격적으로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라며 “각종 사업 추진을 위한 국·도비 예산 확보에도 소홀히 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피현진기자 phj@kbmaeil.com
/정안진기자 ajjung@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