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지선 패배 책임론 놓고<br/>계파 간 갈려지며 극심한 내홍<br/>일각선 “부끄럽다” 자성 목소리<br/>여당과 원 구성 협상에도 차질
더불어민주당이 6·1 지방선거 패배 책임공방을 이어가며 극심한 내홍에 휩싸이고 있다. ‘이재명 책임론’을 두고 친문계와 친명계의 갈등이 더욱 격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친문계(친 문재인)측은 이재명 의원의 책임을 거론하며 당권을 견제하고 나섰고, 친명계(친 이재명)는 ‘이재명 죽이기’를 기획하고 있다고 맞섰다.
친문 성향의 신동근 의원은 자신의 페이스북에 ‘잘못을 잘못이라고 하는게 잘못인가’라는 제목의 글에서 “냉정한 평가와 반성을 할 수 없게 만드는 방식이 몇 가지 있다”고 친명계를 비판했다. 친문 계열 김종민 의원도 “대선 때 심판받은 후보가 바로 지역구에 교체 출마한 건 헌정 사상 처음 있는 일로 민심과 민주주의에 어긋나는 것”이라고 비판에 가세했다.
그러자 이 의원을 비호하는 친명계가 적극적인 반격에 나섰다. 친명계 김남국 의원은 친문계가 조직적으로 ‘이재명 죽이기’에 나섰고 “잘 짜진 드라마 각본을 보고 있는것 같다”고 지적했다. 친명계 현근택 변호사도 “국힘에서 처음부터 끝까지 이 의원만을 공격했는데 민주당에서 같은 말을 하는 사람들이 나타났다”고 직격했다.
이같은 민주당 내홍에 팬덤·패거리·맹종 정치를 깨부셔야 한다는 지적과 함께 자성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민주당 내부를 향해 쓴소리를 서슴치 않는 중진인 이상민 의원은 당이 패배의 아픔에서 벗어나 국민 곁에 다가 서려면 “금기를 없애는 창조적 파괴와 혁신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박수현 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대선과 지선 패배를 놓고 친문 대 친명 삿대질이 웬말인가. 부끄러워 얼굴을 들 수 조차 없다”며 상대방을 존중하는 자세를 가져보자고 호소했다.
그러나 당의 쇄신을 이끌 새 비상대책위원회 구성이 첫발을 떼지 못하고 있어 당내 내홍은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 또한 후반기 원구성도 여야간 힘겨루기 양상이 이어지고 있어 난항이 예상된다.
6일 민주당 박홍근 당 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는 국민의힘을 겨냥해 “당리당략을 버리고, 여당이 해야 할 최선의 선택은 국회의장을 선출해 국회를 정상화하는 것”이라며후반기 원 구성 협상을 제안했다.
그러자 국민의힘 권성동 원내대표는 “법사위원장을 국민의힘 몫으로 하는 건 여야 합의사항이고, 국회의장과 법사위원장을 1, 2당이 나눠 갖는 건 당연하다”며 “법사위를 차지하고 싶으면 국회의장을 돌려줄 것인지 되묻고 싶다”고 반문했다. /김상태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