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 위한 국민의 회초리” 윤호중·박지현 등 비대위원 총사퇴 <br/> 새 지도부 구성과제 더불어 책임론 공방 땐 내홍 재점화 가능성
더불어민주당 지도부가 6·1 지방선거 참패의 책임을 지고 총사퇴를 결의했다.
2일 민주당은 비공개회의를 마친후 기자회견을 갖고 윤호중·박지현 공동비상대책위원장을 비롯한 당지도부가 사퇴한다고 밝혔다.
윤 위원장은 “비상대책 위원 일동은 이번 지방선거 결과에 책임을 지고 전원 사퇴하기로 했다”며 “지지해 주신 국민 여러분과 당원 여러분께 사죄드린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민주당에 더 큰 개혁과 과감한 혁신을 위해 회초리를 들어주신 국민 여러분께 감사드린다”면서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해 주신 후보들께도 죄송하다고 머리를 숙였다.
민주당은 이번 지방선거에서 4년 만에 지방권력을 국민의힘에게 통째로 내주었다. 이 때문에 지도부 사퇴와 선거 패배의 결과가 향후 정국에 미칠 여파에도 관심이 쏠린다.
이번 선거결과는 지방권력의 판세를 결정하는 것은 물론이고, 새 정부 출범 초기 국정 동력을 좌우할 뿐 아니라 입법부 내 여야 대치 정국 및 각 당의 권력 지형 등에도 대형 변수로 작용할 수 있기때문이다. 국민의힘측은 의석에서 아직 민주당 대비 수적 열세에 몰려있긴 하지만, 지방선거에서 확인된 민심을 바탕으로 더욱 적극적인 공세 모드로 전환할 가능성이 점쳐진다.
고용진 수석대변인은 비공개 회의에서는 비대위원들이 각자 그간의 소회를 밝히고 향후 당의 수습 방안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다고 전했다.
고 수석대변인은 “대선 패배 원인 분석과 평가, 그에 따른 당의 혁신을 잘 하기 위해 왔으나 지방선거가 임박해 충분히 해내지 못했다는 데 대해 모든 비대위원이 동일한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며 “객관적 평가와 그에 따른 혁신방안 마련 등은 멈추지 말고 가야 한다는 의견이었다”고 전했다.
민주당 새 지도부는 의원총회와 당무위, 중앙위원회를 거쳐 구성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박홍근 원내대표가 차기 지도부가 선출될 때까지 직무대행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민주당 안팎에선 당이 또 다른 임시 지도부를 꾸려 대선과 지선을 평가하고 반성과 쇄신에 나섰지만, 새 지도부를 정당성과 공정성을 통해 선발하지 않으면 당의 위기가 걷잡기 어려울 만큼 커질수 있다는 지적이다. 또한 당내에서 지방선거 패배 책임을 두고도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어 이 과정에서도 상당한 진통이 예상된다.
아울러 지방선거 이후 최대 현안인 국회 원(院) 구성 협상에서 법제사법위원장 등 핵심 쟁점을 놓고 강경론이 득세할 경우 민주당의 내홍은 재점화 될 수도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문재인정부에서 국무총리를 지낸 이낙연 전 대표는 광주 투표율(37.7%)이 역대 최저치를 보인것을 언급하며 현재 민주당이 ‘정치적 탄핵’을 당했다고 진단했다.
이 전 대표는 “국민은 민주당에 광역단체장 5대 12보다 더 무서운 질책을 줬다”며 “민주당은 대통령 선거를 지고도 아무 일 없었던 것처럼 지방선거를 치르다 또 패배했다. 이상한 대처는 당의 질환을 심화시켰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당 지도부가 패배를 인정하는 대신 ‘졌지만 잘 싸웠다’고 자찬한 것에 국민의 상식으로 납득이 가지않는다고 직격했다.
/김상태기자kst@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