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울릉도서 흑두루미 처음 발견…멸종위기 II급, 천연기념물 228호

김두한 기자
등록일 2022-04-08 14:32 게재일 2022-04-08
스크랩버튼
울릉도에서 발견된 천연기념물 제228호 흑두루미 /김주석 지회장 제공
울릉도에서 발견된 천연기념물 제228호 흑두루미 /김주석 지회장 제공

울릉도에서 국제보호종이며 우리나라 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 천연기념물 제228호인 흑두루미가 처음으로 발견돼, 조류학계의 비상한 관심을 끌고 있다.

김주석 한국조류보호협회 울릉지회장에 따르면 ”울릉도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던 흑두루미가 최근 북면 천부리(본천부)에서 처음으로 발견, 촬영에 성공했다 “고 8일 밝혔다.

김 회장에 따르면 촬영 당일 흑두루미 8마리가 사람이 어느 정도 접근해 사진을 촬영하는데도 달아나지 않고 밭에서 먹이를 찾고자 두리번거렸다고 말했다.

울릉도에서 천연기념물 흑두루미 8마리가 처음으로 발견됐다. /김주석 지회장제공
울릉도에서 천연기념물 흑두루미 8마리가 처음으로 발견됐다. /김주석 지회장제공

흑두루미는 러시아, 동북아시아에 서식하는 두루미목 두루미과의 조류로 울릉도와 관련, 독도에서 1990년대 이동 중에 관찰된 적은 있지만, 독도에서 서식한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평이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일본이나 남쪽으로 이동하는 도중 관찰됐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하지만, 이번에 울릉도에서 발견됨에 따라 조류학계 귀중한 연구 자료가 될 것으로 보인다.

흑두루미는 한국에서는 보기 드문 겨울 철새로 몸길이는 약 96.5cm, 날개너비 약 180cm~200cm로 두루미 중에서는 작은 크기이다.

국제보호종(IUCN VU(취약)등급)으로 전 세계에 남은 개체 수는 약 1만 1천600개체 정도로 추산되며 한국에서는 1968년 5월 31일 천연기념물 제228호로 지정됐다.

2012년 5월 31일 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으로 지정보호 받고 있다. 월동 개체가 한때 70마리로 급격하게 감소했지만, 최근에는 적극적인 보호정책으로 개체수가 늘었다.

한국에서는 전남 순천만에서 대부분의 개체가 월동하고 시베리아로 돌아가는 길에 충남 천수만에 중간 기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예전에는 부산 낙동강 하류에서 월동했지만, 서식지 훼손으로 인해 월동지가 순천만으로 이동한 것으로 추정되며, 2021년 기준 순천만에서 월동하는 흑두루미의 개체수는 3천300여 마리 정도로 알려져 있다.

/김두한기자 kimdh@kbmaeil.com

동부권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