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낙동강 통합물관리 협정’ 체결 “구미 정치권, 반대 위한 반대”

김락현기자
등록일 2022-03-30 21:04 게재일 2022-03-31 2면
스크랩버튼
물부족으로 막대한 피해 발생<br/>‘KTX 구미역’ 지역갈등 조장<br/>대선 공약으로 반대 명분 잃자 <br/>상류 13.4㎞ 이전 주장 무리수<br/>지역정가 “시민 위한 정치해야”
대구시와 구미시간 ‘낙동강 통합물관리 협정’ 체결을 놓고 구미 정치권이 딜레마에 빠졌다.

두 도시는 오는 4월 4일 오후 4시 구미시청에서 ‘낙동강 통합물관리’협정을 체결할 예정이다. 하지만 대구시의 구미 해평취수원 물 사용을 반대해 왔던 구미 정치권이 물사용 협정 체결을 반대할 명분을 찾지 못하고 있다.

그동안 구미 정치권은 해평취수장을 공동으로 이용할 경우 물부족 사태와 상수도보호구역 확대 등으로 구미지역에 막대한 피해가 발생한다며 강력하게 반대해 왔었다. 특히, 구미시가 해평취수장 공동이용 조건으로 ‘KTX 구미역 신설’을 내건 것을 두고 비난의 목소리를 높여왔다.

구미시가 추진하는 ‘KTX 구미역 신설’지역이 칠곡군 약목이기에 지역 갈등을 조장한다는 이유에서였다.

하지만,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공약에 ‘낙동강 수계 취수원 다변화, 안전한 물공급으로 먹는 물 불안 해소’가 포함되면서 취수원을 반대할 만한 명분을 찾지 못했고, 이런 이유로 취수원 반대측의 활동도 눈에 띄게 줄어 들었다.

구미시의회 대구취수원 구미이전 반대특별위원회 역시 지난 2월 21일 제7차 회의를 끝으로 별다른 활동을 하지 않았다.

그러던 중 김영식(구미을) 국회의원과 일부 정치인들은 취수장을 구미보 상류 13.4㎞가량으로 옮겨 대구시와 물을 나눠 먹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이 방안은 지역에서도 현실성이 없는 대안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취수원 공동이용에 필요한 사업비는 총 7천199억원으로 이 중 관로 55.1㎞ 사업비가 약 4천억원이고, 초고도정수처리시설 도입에 3천여억원이 필요하다. 이런 와중에 상류로 취수원을 13.4㎞ 옮긴다면 관로 사업비만 972억여 더 필요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렇게 되면 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하기 힘들다는 것이 중론이다.

여기에 해당 상류 지역인 상주 낙동면, 의성 단밀면과의 새로운 갈등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고, 그동안 국무조정실과 환경부가 구미시에 약속한 매년 100억원 상생기금 등의 모든 조건들이 물거품이 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특히, KTX 구미역을 칠곡군에 신설하는 것이 지역 간 갈등을 유발한다는 이유로 반대해 온 구미 정치권이 지역 갈등을 유발할 수 밖에 없는 취수원 상류 이전을 해법을 들고 나온 것 자체가 모순이라는 지적이다.

지역 정가 관계자는 “지역 정치인들이 구미 발전이라는 큰 틀은 보지 못하고 민주당 시장의 공적이 될까 싶어 반대를 위한 반대를 하는 모습에 안타까움을 느끼고 있다”며 “정치도 결국 시민들을 위한 것이라는 사실을 알았으면 한다”고 일침했다.

구미/김락현기자

kimrh@kbmaeil.com

중서부권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