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일 개막한 ‘2022 베이징 동계 올림픽’이 중반부에 접어들면서 열기를 더하고 있다.
베이징 올림픽은 현대 과학기술의 현란한 전시장이 될 전망이다. 5세대(5G), 인공지능(AI), 클라우드 컴퓨팅 등 혁신적인 기술이 경기장 곳곳에 도입돼 더 안전한 경기 진행과 정확한 판정은 물론,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을 돕는다고 한다.
조직위원회는 대회 기간 내내 각 경기장에 다양한 종류의 AI 로봇을 배치한다. 선수들과 경기장 근무자들의 건강 상태를 점검하는 모니터링 로봇, 소독 로봇, 배송 로봇 등이다.
개회식에서 선을 뵌 간결하면서도 다양한 AI 기법의 활용은 전 세계의 흥미를 돋우었다.
한국의 2018 평창올림픽에서도 세계 최초 5G, 이동통신 서비스를 비롯하여 편리한 사물인터넷(IoT), 초고화질(UHD), 가상현실(VR) 서비스 등 AI 기반의 각종 기술이 선을 보였다.
AI 기반 통·번역 앱인 ‘지니톡’은 공식 지정하여 음성, 이미지 문자, 장문의 텍스트 번역까지 해주는 등 총 9개 언어를 지원하고 있다.
과연 AI는 인간을 완전히 대신할 수 있을까? 그리고 인간과의 대결에서 이긴다면 그런 AI는 누구의 승리인가?
튜링 테스트 (Turing Test)라는 말이 있다.
기계의 지능이 인간처럼 독자적인 사고를 하거나, 의식을 가졌는지 인간과의 대화를 통하여 확인하는 시험법이다. 이 테스트는 현재 로봇 등 인공지능 연구에서 기계의 독자적 사고 여부를 판별하는 주요 기준으로 널리 인정받고 있다.
튜링 테스트는 1950년 영국의 수학자이자 암호 해독가인 알랜 튜링(Alan Turing)이 발표한 ‘Computing Machinery and Intelligence’란 논문에서 처음 소개되었다.
기계의 지능이 인간에 필적하는지 판별하는 ‘튜링 테스트’를 제대로 통과한 인공지능이 아직은 드물다.
2014년 튜링 테스트를 통과한 첫 사례가 나왔다고 영국 레딩대학교가 발표하였다. 레딩대학교는 전날 영국 왕립학회에서 이 대학 시스템공학부와 유럽연합(EU)의 재정지원을 받는 로봇기술 법제도 연구기관 ‘로보로’가 개최한 ‘튜링 테스트 2014’ 행사에서 이런 판정이 나왔다고 전하였다.
이 대학에 따르면 경쟁에 참가한 프로그램 중 ‘유진 구스트만’이라는 슈퍼컴퓨터에서 돌아가는 ‘유진’이라는 프로그램이 이 기준을 통과하였다는 것이다.
한편, 2016년 세계의 관심 속에 한국에서 개최된 세계 최정상의 기사인 이세돌 9단과 구글이 개발한 바둑 컴퓨터 프로그램 알파고의 대결은 전설적으로 남아있다.
전 세계가 지켜보는 가운데 인류 대표인 이세돌 9단과 구글 딥마인드 인공지능 알파고의 대결은 싱겁게 4승 1패의 알파고 승리로 끝났다.
AI는 컴퓨터 과학의 다른 분야와 직간접으로 많은 관련을 맺고 있다. 특히 현대에는 정보기술의 여러 분야에서 인공지능적 요소를 도입하여 그 분야의 문제 풀이에 활용하려는 시도가 매우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자연어처리, 로봇원리, 전문가시스템, 이론증명, 신경망 이론 등이 인공지능의 분야인데 이 중에서 구글의 딥마인드는 신경망 이론을 획기적으로 발전시킨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딥마인드가 신경망 이론으로 알파고를 개발하기 이전 2006년에 등장한 딥러닝은 뇌의 구조를 재현한 인공지능 기술을 추진하는 혁신적인 기술로 주목받았다.
자율자동차 개발도 AI의 눈부신 발전을 배경으로 속도를 내고 있다.
알파고를 개발한 구글의 ‘자율주행 자동차’가 주목받고 있는 가운데 애플도 무인 전기자동차를 개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AI의 눈부신 성과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갈 길이 멀다는 주장도 힘을 얻는다.
‘유진’ 프로그램의 튜링 테스트 통과도 과장되었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고, 알파고도 학습한 적 없는 경우 맞닥뜨리면 터무니없는 결과를 보여준다는 비판과 함께 1패를 당할 때 그런 모습을 보여주었다.
중국, 미국, 일본 등 전 세계에서 자율주행차 사고가 잇따르고 있다. 자율주행차는 상용화가 머지않았다는 예측이 나오기도 했으나, 업계에서는 상품성 있는 차량이 출시되기까지는 최소 5년은 더 필요할 것으로 보고 있다.
국제자동차기술협회에 따르면 자율주행 기술은 0에서 5까지 6개 단계로 나누어지는데, 운전자 개입이 필요하지 않은 4단계 이상을 진정한 의미의 자율주행으로 본다. 현재 상용화된 자율주행은 운전자를 보조하는 수준인 2단계다.
인간과 AI의 대결, 누가 이기든 사실상 인간의 승리일 뿐이라는 구글 슈밋 회장의 말이 의미심장하게 다가온다.
인간이 AI에 진다 하여도 그 AI는 인간이 만든 프로그램일 뿐이다.
사실상 AI는 인간의 승리일 뿐이다.
인간이 위대하다는 것을 우리는 계속 믿고 싶을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