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신한울 3·4호기 건설 중단… 울진경제 ‘흔들’

장인설기자
등록일 2022-01-09 20:01 게재일 2022-01-10 10면
스크랩버튼
 7천억 투입하고도 4년째 방치<br/> 인구 급감에 재정자립도 하락  <br/> 음식·주점 수백 곳 줄폐업 등  <br/> 인프라 붕괴까지 피해 막심<br/> 지역 경제 효과 손실 67조에 <br/> 고용 피해도 24만여 명 예측  <br/> ‘탈원전 정책’ 후폭풍 커져 가  
[울진] 울진 신한울 3·4호기엔 이미 7천억 원이 투입됐지만,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공사가 중단된 채 5년 가까이 방치돼 있다.

신한울 1·2호기 바로 옆 넓은 공터엔 전신주 모양의 긴 시멘트 막대 2개가 꽂혀 있다. 애초 지금쯤이면 신한울 3·4호기 원자로 돔 건물이 들어섰어야 할 자리이다. 대신 잡초만 무성하다.

탈원전으로 신규 원전 건설이 중단되면서 산업 생태계는 붕괴했고, 원전 건설과 운영에 의존해온 울진 경제는 깊은 침체의 늪에 빠졌다. 일자리가 없어지자 사람들이 떠나 소비가 줄고, 장사가 안 되니 가게 문을 닫으며 일자리가 줄어드는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다.

2016년 5만1738명이던 울진군 인구는 작년 11월 말 4만7천928명으로 감소했다. 울진군 재정자립도는 2017년 17.4%에서 작년 14.6%로 떨어졌다. 2017년부터 작년 11월까지 울진군 음식·주점 722곳이 문을 닫았다.

장유덕 울진군의회 원전관련특별위원장은 “탈원전으로 울진군 상가 공실률은 20%, 숙박업소 공실률은 40%에 육박한다”며 “신한울 3·4호기 공사를 재개해 지역 주민 숨통을 틔워줘야 한다”고 말했다.

한수원과 울진군청에 따르면 2011년 12월 기초 굴착 공사가 시작된 신한울 1·2호기의 연평균 건설 인력은 46만5천584명으로, 하루 평균 1천764명에 달했다.

지금은 공사가 마무리돼 남은 인력은 700명이 안 된다. 건설 부문 협력업체 관계자는 “신한울 1·2호기 마무리 공사까지 끝나면 새로운 일감을 찾아 울진을 떠나야 한다”며 “어딜 가서 일감을 찾아야 할지 막막하다”고 했다.

전기공사를 담당한 협력업체 직원은 “10여 년째 원전 건설 현장에서 일해왔지만, 원전을 더 짓지 않으니 보수 작업 현장을 찾아 떠돌 수밖에 없다”고 했다.

울진군 북면의 한 아파트 건설 현장엔 녹슨 철근과 파이프, 시멘트 배관과 벽돌만 어지럽게 널려 있다. 시멘트 골조엔 ‘무단 출입금지’라는 붉은 글씨가 쓰여 있다. 대지 4천600여 평에 5층짜리 9동 120가구 규모로 아파트가 들어설 계획이었지만 3개 동만 5층까지 지었고, 나머지 6개 동은 자금난으로 기초공사 단계에서 중단됐다.

한 건설업자는 “울진 원전을 보고 경남 양산에서 이곳으로 와 사업을 시작했는데, 지금 남은 것은 빚과 아픈 심신뿐”이라고 했다. 그는 “총공사비 120억원 중 40억원 정도 투자했는데 신한울 3·4호기 공사 중단 여파로 자금줄까지 막혀 은행 경매가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울진군이 한국원자력학회에 의뢰한 ‘신한울 3·4호기 건설 중단에 따른 지역경제 파급 효과’ 연구 용역에 따르면, 신한울 3·4호기 건설로 울진 지역에 연간 1조1천198억원(발전 사업 1조660억원, 지원 사업 448억원 등)의 경제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예측됐다. 원전 60년 가동 기간을 감안하면 울진군의 경제 효과 손실은 67조원에 달하고, 고용 피해는 24만3천여 명에 달한다.

울진군 관계자는 “세수 감소로 일자리가 줄면서 지역 경제가 쇠락하고 인구는 더욱 줄어드는 악순환이 계속되고 있다”고 했다.

2018년 12월 시작한 ‘탈원전 반대 및 신한울 3·4호기 건설 재개 범국민 서명운동’은 지난 9월 말 100만명이 넘었다. 정부는 신한울 3·4호기 건설 재개 결정을 차기 정부로 넘겼다.

한편, 신한울 1호기는 완공 15개월 만에 시험 운전 중이다. 원자력안전위원회가 뒤늦게 조건부 운영 허가를 내줬기 때문이다.

/장인설기자 jang3338@kbmaeil.com

동부권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