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서툰 삶

등록일 2021-12-28 20:11 게재일 2021-12-29 16면
스크랩버튼
임지훈 2020년 문화일보, 서울신문 신춘문예 평론 부문에 당선된 문학평론가. 한양대 국문과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나는 인생을 제대로 살아내지 못했다. 나의 인생을 내 손으로 망치고 말았다.’ 연말이면 매번 그런 생각에 사로잡힌다. 올 한 해 나는 무엇을 했나. 또다시 감당하지 못할 일에 손을 대고, 그걸 수습하느라 정신없이 보낼 따름이었지 않나. 무엇이 중요한지 생각조차 해보지 못한 채, 당장 급한 일에 목이 매달려 스스로를 재촉하며 살아왔을 따름은 아닌가. 1년을 바삐 움직이고, 무언가를 마구잡이로 해치워왔지만, 단지 그것뿐이다. 지금 눈앞에 놓인 것은 부러진 나의 마음이다.

나의 마음은 쳇바퀴처럼 돌고 돌아서, 무엇이라도 해야만 한다는 마음과 무엇을 해도 소용없다는 마음이 매일같이 빙글거린다. 무엇이라도 하지 않으면 나는 가치 없는 사람이 될 것만 같고, 그렇다고 무언갈 하고 있을 때면 이게 무슨 의미가 있겠냐며 빈정거리게 된다. 의욕은 그 순간 속에서 빠르게 타버린다. 정성들여 시작한 일도 어느새 지긋지긋하고 징그러운 일로 뒤바뀌어 있다. 마치 밀린 숙제를 하는 것처럼 끝내버리고 싶다는 마음만 가득해진다. 처음의 마음은 어느새 사라지고, 단지 이 시간이 무사히 지나기만을 소망하는 무기력한 마음.

처음부터 나도 그런 인간은 아니었을 것이다. 아마도 처음엔 좀 더 의욕적인, 잘하고 싶은 마음이 가득한 사람이었을 것이다. 어쩌면 최후의 순간까지도 그런 마음을 유지할 수 있었던 때가 있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게 무슨 의미가 있을까. 돌이켜 생각해보면 그건 단지 비례의 문제에 불과할 따름인 것을. 언제고 나의 마음은 손쉽게 쏟아져 텅 비어버리고, 지금의 시간이 조용히 흘러가주길 바라게 되는 것을. 마음을 가득 채워줄 그런 순간을 기다리지만, 세상에 그런 일은 없다. 그때쯤 알게 되었다. 나는 더 이상 내 인생의 주인공도 감독도 아니라는 것을. 나는 단지 내 삶의 관리인에 불과해져버렸다는 것을. 나는 내가 살아가는 까닭을 알지 못한다. 그럼에도 무엇이라도 해야만 했다. 늘 내 주변에는 문제가 가득했고, 그런 문제들을 내가 해결하지 않으면 삶은 더욱 피폐해져갈 따름이었으니까. 늘 문제를 해결하기에 급급했던 인생. 그게 나의 지난 삶이다. 딱히 누군가를 원망하는 것은 아니다. 누구든 사연이 없는 사람은 없으니까. 단지 나의 삶에는 남들도 겪는 문제들이 조금 복합적으로, 그리고 조금 더 많을 뿐이다. 나보다 더 많은 문제들과 씨름하며 살아가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손 쓸 수 없이 괴로운 마음으로 살아가는 사람도 많을 것이다. 나는 그것을 알고 있다. 하지만 오늘, 나는 이것이 단지 앎에 불과하다는 것을 새삼 느낀다.

나는 내 삶에 대해 부정하거나 빈정거리기보다는 무엇이라도 해보고 싶었다. 애쓰고 싶었고, 그래서 어떻게든 내 삶을 다른 사람과 비슷한 수준으로라도 만들어보고 싶었다. 단지 그것뿐이다. 지금의 내가 부러진 마음을 바라보고 있어야만 하는 건 그런 때문일 것이다. 산다는 것이 무엇인지, 그게 나에게 어떤 의미인지 생각조차 하지 않은 채 살아온 탓이다. 나는 왜 살아가는 가에 대해 생각했어야만 했다. 단지 관리인으로 머물고 싶은 게 아니었다면 말이다.

임지훈 2020년 문화일보, 서울신문 신춘문예 평론 부문에 당선된 문학평론가. 한양대 국문과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임지훈 2020년 문화일보, 서울신문 신춘문예 평론 부문에 당선된 문학평론가. 한양대 국문과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올 한 해 내가 쓴 글들을 천천히 읽어본다. 나의 마음이 부러진 지도 꽤 오래인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온전하지 못한 문장들과 충분하지 않은 의미들. 그건 나의 마음이 오래도록 부러져 있었다는 뜻이다. 글은 잔인하게도 사람의 마음을 고스란히 드러낸다. 의미가 아닌, 문장의 형태로 말이다. 단단하게 끝맺지 못하고 길게 늘어져 긴장을 잃어버린 문장들을 바라본다. 이것이 나의 책임, 이것이 나의 몫이라는 생각을 한다. 어떤 핑계로도 갈음될 수 없는 온전한 나의 잘못이다.

내년이 되어도, 나는 내가 살아가는 의미 따위 알지 못할 것이다. 내가 글을 쓰는 이유도 영원히 알지 못할 것이다. 하지만 그게, 걸음을 멈출 이유는 될 수 없을 것이다. 어쩌면 의미라는 건 그걸 찾아가는 과정 속에서 만들어지는 것일지도 모른다. 만약에 그렇다면, 나는 다시 소박해지고 싶다. 한두 가지 문제쯤은 누구나 안고 가는 것이라고, 모든 일을 능숙하게 잘 해낼 필요는 없다고. 다만 하고 싶은 일을 하나쯤은 손에 꼭 쥐고 있으라고. 그것만은 절대 놓아서는 안 된다고. 그렇게 부러진 마음에 마음을 덧댄다. 걸을 수 있을지 알 수는 없지만, 그게 걸음을 멈출 이유는 아니라고 생각하면서 긴 밤을 보낸다.

2030, 우리가 만난 세상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