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병창 교수팀, 치료 물질 단초
이번 연구 성과는 관련 분야 국제학술지인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Pro ceedings of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U.S.A)’ 온라인판에 11월 17일 게재됐다.
연구팀은 칼륨이온 채널의 일종인 KCNQ2의 발현이 microRNA의 한 종류인 ‘miR106b’에 의해 조절된다는 것을 발견했다.또, 비정상적으로 miR106b가 과다 생성되며 KCNQ2 내 단백질 발현을 억제하고, 이는 결국 뇌신경세포의 활성전위 생성 촉진과 간질(뇌전증)로 이어지는 원리도 함께 발견했다. 이 결과는 앞으로 관련 치료 물질 개발의 실마리를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김재욱기자 kimjw@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