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신약개발 시간·비용 절감
이번 공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보건복지부의 지원을 받은 ‘인공지능 신약개발 플랫폼 구축 사업’의 결과물로 인공지능(AI) 신약개발 공공 포털(www.kaidd.re.kr)에 등재돼 있다.
케이메디허브는 이번 사업에서 개발된 각종 신약개발 플랫폼들을 한곳에 모아 연구자들에게 무료로 제공함으로써 신약개발을 가속하고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 공공포털을 구축하게 됐다. 이번 개발에는 고준수 (주)아론티어 대표, 나도균(중앙대) 교수, 이지영 케이메디허브 책임연구원, 최선 이화여대 교수, 이관수 카이스트 교수, 박숙련 서울 아산병원 교수팀이 플랫폼 개발에 참여했다.
또 포털 운영 지원 및 공공 포털사이트 개발에는 케이메디허브 신약개발지원센터, 오송첨복재단 신약개발지원센터, 심플렉스(주), 한국제약바이오협회가 참여했다.
재단은 공공포털이 활용되면 혁신신약개발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이 대폭 절감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AI 신약개발 공공 포털은 단백질구조기반 분자 속성 예측, 신경퇴행성 질환 치료제 표적발굴 및 화합물 예측, 인산화효소 및 세포막 단백질 표적 항암신약 개발, 빅데이터/AI 기반 약물 설계 및 후보물질 도출, 바이오-임상 빅데이터를 통한 약물재창출, 면역 항암제 투여 환자 정보를 이용한 스마트약물감시에 활용할 수 있는 다수의 인공지능 플랫폼 등을 제공한다.
/김영태기자 piuskk@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