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녀던길

등록일 2021-12-12 19:56 게재일 2021-12-13 17면
스크랩버튼
무엇을 기억한다는 것에 대하여
고산정의 풍경이 고즈넉하다.

제사 지내고 돌아오는 길, 먼 산 위에 달이 떴다. 나물을 다듬고 탕국을 끓일 초저녁부터 우리 동네를 서성이다가 음복이라도 하고 가라는 소릴 기다렸는지 반쯤 감긴 눈으로 우리를 내려다본다. 달을 향해 달리다 상에서 내린 술 몇 잔에 취기가 오른 옆지기에게 저 달 좀 올려다보라 권했다. 달을 보니 요 며칠 퇴계 이황의 시선집의 목차를 어루만졌더니 시 한 수 읊고 싶은 밤이라 읊조렸다.

퇴계에서, 도산 달밤에 매화를 읊어, 어제 농암 선생을 뵙고 물러 나와 느낀 바 있어 두 수를 짓다, 조사경이 병 때문에 청량산으로 가자던 약속을 지키지 못하였기에 금협지가 화답한 운으로 시를 지었다, 제목만으로 이황 선생이 거닐던 서원과 시를 나누던 친구들까지 엿보는 기분이 들었다. 시인들이 그의 문학을 따라 하고 싶어서 선생이 자주 걷던 산책로를 따라 걷는다는 이야기가 생각났다. 주말에 길을 나섰다.

안동 선비 순례길은 아홉 개의 코스가 있다. 우리는 그중에 예던길을 걷기로 했다. 네 번째가 퇴계 예던길이다. 퇴계가 지은 ‘도산십이곡’에도 녀던길이라는 표현이 등장한다. 옛 성현도 나를 보지 못하고 나도 그분들을 못 뵙네 옛 성현을 못 봬도 그분들이 행하던 길은 앞에 있네 그분들이 가던 길이 앞에 있는데 아니 가고 어쩌리. ‘녀던’은 ‘가던’, ‘다니던’의 뜻이 담겨 있다. 지금은 녀던길이라는 이름 대신 예던길로 불리는 이 길은 퇴계가 숙부(송재 이우)로부터 학문을 배우기 위해 청량산으로 가면서 처음 걸었던 곳이다. 스스로 ‘청량산인’이라고 부를 정도로 청량산을 사랑했던 퇴계는 그 후로도 여러 차례 이 길을 걸어 ‘퇴계 오솔길’이라 부르기도 한다. 녀던길, 예던길 모두 같은 길이다.

퇴계는 낙동강을 따라 거닐었으나 현재는 사유지 문제로 인해 옛길을 그대로 걸을 수는 없다고 했다. 안동시에서는 강변길 대신 건지산으로 돌아가는 길을 만들어놓았다. 약 4km에 달하는 산길이다. 단천교에서 고산정까지 가는 길에 백운동, 미천장담, 한속담 등 자연의 아름다움을 노래한 퇴계의 한시와 그 경관을 감상할 수 있어 ‘시심의 길’이라 불리기도 한다.

산행에 자신이 없어 다시 차를 타고 농암종택이 있는 가송리로 가서 예던길을 이어 걸었다. 원래 도산서원 인근 분천동에 있었으나 1975년 안동댐 건설로 그 지역이 수몰됨에 따라 현재의 자리로 이전 복원했다. 종택과 사당, 긍구당, 분강서원, 애일당 등 농암 관련 각종 문화재를 지금의 자리로 한데 모아놓았다. 종택은 고택 체험하는 사람들로 붐비는지 주차장이 빈틈이 없었다. 방안에 사람들이 있다니 조용히 기와집이 앉은 품새와 현판과 문살만 슬쩍 보고 강가로 나왔다,

오전의 햇살이 낙동강에 내려앉는다. 물소리인지 햇빛이 반짝이며 내는 소리인지 분간할 수 없다. 순간에 지나가는 풍경이라 얼른 사진을 찍었다. 하지만 눈으로 보는 만큼 담아내는 실력이 내겐 없다. 다시 강의 윤슬을 한참 서서 눈으로 담았다. 고산정을 향하여 남편과 두런거리며 걸었다.

이황 선생은 늘 혼자서 이 길을 걸었을까? 가끔은 애제자와 동행하기도 했겠지? 아침 일찍 나서서 농암종택에서 안동식혜로 목이라도 축이고 고산정까지 갔겠지. 아, 그때 고춧가루가 있었나? 이황 선생은 1570년에 돌아가셨고, 임진왜란 즈음에 전래했다는 설이 있으니 빨간 식혜는 아니었을 거야. 이야기를 나누다 보니 우리도 목이 말랐다. 가까운 거리라 손에 물병 하나 들지 않고 걸어온 게 후회스러웠다.

강 건너에 고산정이 멀리 보였다. 난간이 없는 다리를 건너 차 한 대 비켜서기 힘든 길을 걸어 고산정에 다다랐다. 마당에서 강을 내려다보노라니 물빛에 비친 풍경이 이황 선생의 발길을 자주 이곳으로 불러들일 만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오래 묵은 탱자나무가 선생이 자주 외던 시 한 수 들려줄 것만 같았다. 고산정을 둘러싼 주위 산이 온통 돌산이다. 마치 이곳에 머물던 선비들이 읽은 책을 켜켜이 쌓아 놓으니 산이 된 듯하다. 산바람 강바람에 묻어오는 글향이 은은하다. /김순희(수필가)

무엇을 기억한다는 것에 대하여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