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거주인구 확대 넘어 생활인구 활성화”

피현진기자
등록일 2021-11-24 20:10 게재일 2021-11-25 1면
스크랩버튼
전국 최대 지방소멸 위기 경북도<br/>종합대응계획 용역 최종 보고회<br/>청년 유입 방안 등 6대 전략 제시<br/>이철우 “악순환 고리 끊어 내야”

전국에서 가장 심각한 지방소멸 위기에 처해 있는 경북도가 청년 유입 시범 마을 확산과 신중년 이주·정착 지원 등 인구감소시대 지방소멸에 대응한 생존전략 마련에 나섰다.

도는 23개 시·군의 인구변화와 지역소멸 위기 실태분석을 토대로 지방소멸대응 전략을 마련하고자 전국 최초로 ‘지방소멸대응 종합계획’ 연구용역을 추진했다. 용역은 지난 4월부터 국토연구원에 의뢰해 8개월간 진행돼 24일 최종 보고회가 열렸다.


용역 결과 경북도의 소멸 대응을 위한 6대 추진 전략이 제안됐다.


소멸 대응 전략으로 우선 거주인구 기준의 양적확대 정책에서 벗어나 지역과 연을 맺고 지속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생활(관계)인구 활성화 방안이 제시됐다. 생활인구가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지역에 애착을 가져 정착하도록 한다는 것.


또 청년과 중장년, 외국인 등 다양한 세대가 조화롭게 생활할 수 있도록 청년 유입 시범 마을 확산, 신중년 이주·정착 지원, 자립형 노인공동체 마을 조성, 외국인 유학생·근로자 정착 지원 등에도 나선다. 자연환경, 문화유산, 특산물 등 지역자원을 활용한 브랜드를 강화해 지역경제 활성화와 발전을 도모한다.


이와 함께 고령화 및 소규모 마을 주민에 동등한 삶의 질을 보장하는 편리한 생활공동체를 만들고 도시와 농촌 등 지역 간 연대와 협력을 강화한다. 디지털 인프라 기반 조성 등 새로운 미래에 대비한 스마트, 친환경 도시·생활 기반도 만든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이번 인구소멸 대응전략이 인구감소와 청년유출로 인한 지역 활력 저하의 악순환 고리를 끊어 내고 새 도약의 발판이 되기를 바란다”며 “다양한 대응 정책들이 현장에 반영돼 사람이 모이는 활력 넘치는 지역을 만들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24일 경북도에 따르면 대구와 분리된 1981년 319만 명이나 되던 인구가 2020년 기준 264만 명으로 무려 55만 명이나 감소했다. 특히 지난해에만 2만6천여 명이 감소했다. 수도권으로 청년유출이 심각해 지난 10년간 청년인구가 16만 명 정도가 감소한 반면, 고령인구는 10년간 16만 명 정도가 증가해 22.4% 초고령화 사회(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율이 20% 이상 사회)로 진입했다.


실제로 지난 10월 행안부에서 전국 인구감소지역 89곳을 지정·고시한 결과를 보면 경북은 전남과 함께 16곳으로 최다 지역으로 지정됐다.


/피현진기자 phj@kbmaeil.com

정치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