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수능을 마친 학생들에게

등록일 2021-11-23 19:12 게재일 2021-11-24 16면
스크랩버튼
수능시험을 끝낸 자녀를 격려하는 학부모. /경북매일 DB

2022학년도 대학 수능 시험이 무사히 치러졌다. 코로나 상황 속에서 맞이한 두 번째 수능인데, 지난해만큼 혼란이 생기지는 않아 다행이다. 날씨도 도와줘서 ‘수능 한파’ 없이 포근한 늦가을 날씨 속에 수험생들이 시험을 치를 수 있었다. 그동안 정말 고생했으니 이제 푹 쉬면서 맛있는 것도 먹고, 못 잤던 잠도 몰아 자길 바란다. 물론 논술, 면접고사로 또 분주한 나날들을 보내야 할 테지만 말이다.

지난봄부터 가을까지 격주 금요일마다 한 남자고등학교에 가 강의를 했다. 문예창작부 동아리 학생들을 지도하는 외부 강사로 초빙되어 작년 그리고 올해, 두 해 동안 학생들을 만났다. 드론, 악기, 합창, 요가 등 여러 동아리들이 있는데, 문예창작부에는 우선지망한 동아리 정원초과로 떠 밀려 온 아이들이 대부분이었다. 1, 2학년생 서른 명 중 자기 의지로 온 건 예닐곱 남짓. 학교는 ‘문집’이라는 결과물에만 관심이 있지 동아리 수업 과정에는 별로 신경 쓰지 않았다. 의욕 없이 좀비처럼 끌려와 앉은 학생들은 엎드려 졸거나 수학 문제집을 풀거나 스마트폰을 만지작거렸다. 그래도 서너 명은 눈이 빛났다. 그 눈빛들과 함께 벚꽃 지나고 장마 지나고 단풍까지 왔다. 지난 10월, 마지막 수업을 했다. 학교 행사로 한 주 거른 것의 보강이어서, 담당교사는 출석 의무 없이 학생들 자율에 맡겼다. 서른 명 중 절반인 열다섯 명이 자리에 앉아 있었다. 예정된 두 시간 수업이 학교 사정에 의해 30분으로 단축됐다. 그저 학생들과 인사나 나누기로 하고 몇 가지 이야기를 들려줬다.

먼저 “개인은 엄격한 비개성화 연습을 거쳐, 자신을 온통 가로지르는 다양함, 자신 속을 헤집는 강렬함들을 향하여 스스로 열린 상태가 될 때 비로소 진정한 자기 이름을 얻게 된다”던 철학자 질 들뢰즈의 문장을 들려주었다. 12년간의 제도권 교육을 통해 ‘비개성화 연습’을 할 만큼 했으니 이제는 주체적으로, 능동적으로 자기 삶의 주인이 돼서 여행, 예술, 사랑 등 세상의 온갖 감동들을 열정적으로 받아들이고, 가치관과 세계인식을 전환케 하는 낯선 충격들을 직접 찾아 나서라는 의미에서였다.

그리고 20대, 30대를 먼저 살아본 입장에서 사족처럼 말을 보탰다. 하나, 운전면허를 최대한 빨리 따라. 둘, 여행을 다녀라. 셋, 일기를 써라. 넷, 고전 영화를 보고 고전 음악을 들어라. 다섯, 비속어ㆍ욕설을 쓰지 마라. 여섯, 모든 여성에게 친절해라. 일곱, 직접 요리를 해라. 여덟, 꾸준히 운동해라. 아홉, 자기계발서를 읽을 바엔 그냥 책을 읽지 마라. 열, 취미를 가져라. 열하나, 군대를 두려워하지 마라. 라는 (젊은)꼰대 소리를 했다.

그러고는 내 은사이신 장석주 시인의 시 ‘내 스무 살 때’를 읽어주었다. 장석주 시인은 내가 스무 살이던 해의 어느 늦가을, 고종석 작가가 한국일보에 기고한 글 ‘성년의 문턱에 선 아들에게’를 강의실에 앉은 학생들에게 읽어준 적 있다. 그 글에는 “순금의 정신은 상상 속의 엘도라도가 아니라 바로 네 둘레에 있을 수도 있다 (…) 독립적이 되도록 애써라. 소수자들과 연대하려고 애써라”라고 쓰여 있었다. 나는 그때 온몸이 떨리는 감동을 받았다.

이병철 문학평론가이자 시인. 낚시와 야구 등 활동적인 스포츠도 좋아하며, 대학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이병철 문학평론가이자 시인. 낚시와 야구 등 활동적인 스포츠도 좋아하며, 대학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참 한심했었지, 그땐 아무것도/ 이룬 것이 없고/ 하는 일마다 실패 투성이었지 (…) 불안은 나를 수시로 찌르고/ 미래는 어둡기만 했지/ 그랬으니 내가 어떻게 알 수 있었을까, 내가/ 바다 속을 달리는 등 푸른 고등어 떼처럼/ 생의 가장 아름다운 시기를 통과하고 있다는 사실을/ 그랬으니, 산책의 기쁨도 알지 못했고/ 밤하늘의 별을 헤아릴 줄도 몰랐고/ 사랑하는 이에게 사랑한다는 따뜻한 말을 건넬 줄도 몰랐지”(장석주, ‘내 스무 살 때’)

마지막 수업으로는 짧고, 인사치고는 꽤 긴 30분이 끝나자 학생들이 박수를 쳤다. 그 박수는 ‘지루한 시간이 마침내 끝났다’며 기뻐하는 의식만이 아님을 나는 알 것 같았다. 며칠 지나 한 학생에게 “문학에 관심이 생겼어요. 선생님 덕분에 시를 좋아하게 되었어요. 앞으로 제가 쓴 글들을 한 번씩 보여드려도 될까요?”라는 메시지를 받았다. 세상은 멈춰도 마음은 멈추지 않는다. 어디론가 가고 또 어디론가 온다. 그렇게 서로 닿는다.

수능을 마친 학생들 모두 이제 세상을 향해 스스로 열린 상태가 되어 진정한 자기 이름을 얻게 되길 바란다. 지금 이 순간 생의 가장 아름다운 시기를 통과하고 있다는 사실을, 순금은 자기 안에 있다는 비밀을 꼭 잊지 않았으면 한다.

2030, 우리가 만난 세상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