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소통과 ‘쇼통’

등록일 2021-10-28 20:08 게재일 2021-10-29 18면
스크랩버튼
김병래 ​​​​​​​수필가·시조시인
김병래 ​​​​​​​수필가·시조시인

지난 21일, 누리호 발사를 앞둔 나로우주센터 발사통제실에 한바탕 소동이 벌어졌다고 한다. 긴장을 하며 발사준비에 신중을 기하고 있던 통제실에 난데없이 이벤트기획사 직원들이 뛰어다니며 방송 중계를 위한 무대를 설치하느라 시장통을 방불케 하는 소란을 피웠다는 것이다. 김정숙 여사를 대동한 문재인 대통령이 현장에 나타나 누리호 발사에 대한 대국민 메시지 발표를 하기 위해 생긴 일이었다. 한 참석자는 “대통령의 성명 발표 뒷배경이 허전하자 기획 책임자가 누리호 발사를 담당해 온 과학기술자들을 뒤에 ‘병풍’으로 동원하기까지 했다”고 볼멘소리를 했다는 보도도 있었다. 물론 현장을 지휘한 사람은 이벤트의 달인(?) 탁현민 청와대 의전비서관이었다고 한다.

문재인 대통령은 취임사에서 소통하는 대통령이 되겠다고 천명했다. 주요 사안은 언론에 직접 브리핑하고, 국민과 수시로 소통하는 광화문 대통령이 되겠다고 했다. 그러나 임기가 끝나가는 지금 그 약속은 공약(空約)이 되고 말았다. 그 대신 ‘쇼통’이란 신개념의 정책(?)을 펼친 대통령으로 역사에 이름을 남기게 됐다. 국민들과 직접 토론이나 기자회견 등으로 소통하는 대신 마치 쇼(show)를 하듯 일방적으로 보여주기 이벤트를 연출하는 걸 비꼬는 말이 ‘쇼통’이란 신조어다. 그런 전시행정이란 집권자의 치적이나 이미지를 홍보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실을 왜곡하거나 과장하기 마련이다.

보여주기 이벤트는 이른바 ‘감성팔이’로 효과를 극대화 한다. 그 대표적인 예가 판문점 도보다리 이벤트였다. 가설된 나무다리를 남과 북의 정상이 다정하게 걷는 장면은 많은 국민들에게 벅찬 감격을 안겨주었다고 한다. 북한이 당장이라도 핵을 포기하고 개혁개방으로 나서서 남북통일에 관한 논의가 활발하게 전개될 것 같은 환상을 갖기에 부족함이 없는 이벤트였다. 당연히 문재인 대통령의 인기는 노벨평화상을 거론할 정도로 고공행진이었다.

하지만 김정은의 처지와 속내를 짐작하는 사람들은 ‘4·27 공동선언문’ 따위는 허울 좋은 말잔치에 불과하다는 걸 모르지 않았다. 예상한 대로 핵무장을 더욱 강화하는 근본적인 정책 노선에는 전혀 변화가 없었다.

쇼통의 또 한 가지 전략은 ‘숟가락 얹기’라고 한다. 워낙에 내 놓을 만한 업적이 없을 경우 남이 이룬 성과에 편승해서라도 낯을 내보려는 수작을 말한다. 지난번 굳이 가지 않아도 될 미국 방문을 하면서 요즘 한창 세계적인 인기를 얻고 있는 방탄소년단을 대동한 것이 바로 그런 예가 될 것이다. 얼마나 국제무대에서의 존재감에 자신이 없었으면 연예인들을 동원해서 체면을 살려보려는 생각을 했을까.

문 정권 초기에는 탁현민이라는 이벤트 전문가를 기용해서 ‘쇼통’의 정책으로 상당한 효과를 누렸다. 하지만 상식이 있는 국민들은 그것이 자화자찬의 홍보 외에는 실익이 없는 쇼에 불과하다는 것을 눈치 채기 시작했다. 쇼는 쇼일 뿐 현실이 아니다. 쇼가 주는 감동의 효과는 현실에 부닥치면 사그라진다. 그리고 그런 이벤트는 거듭할수록 효과가 줄어들기 마련이다.

소통 대신 ‘쇼통’으로 대통령 임기를 다한다면 우리는 그를 ‘쇼통령’이라 부르게 될 것이다.

心山書窓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