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국제 미래자동차엑스포<br/>오늘 엑스코서 성황리에 개막<br/>6개국 161개사 1천부스 규모<br/>완성차부터 부품까지 총망라
미래형 자동차의 현재와 발전방향을 조망할 ‘대구 국제 미래자동차엑스포 2021’이 오는 21일부터 24일까지 대구 엑스코에서 열린다.
올해 5회째를 맞이하는 DIFA 2021은 ‘모빌리티를 혁신하다, 변화를 이끌다’라는 주제 아래, 빈틈없는 방역과 경제회복의 조화를 도모하는데 주안점을 뒀다.
완성차에서부터 부품까지 총망라하는 이번 전시회는 6개국에서 161개 사가 참가하며, 엑스코 동관과 야외전시장에서 1천부스(1만5천876㎡) 규모로 개최된다.
특히 올해에는 ‘DIFA 2021’이 미래차 산업 도약의 마중물 역할을 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면서 완성차를 비롯해 배터리, 배터리모듈, 전동화부품, 자율주행 등 미래차부품 분야 선도기업들이 일찌감치 전시회 참가를 확정지었다. 주요 완성차기업으로 현대·기아차, 벤츠, 지프(대경모터스)&12, 로터스 등이 있다.
이번 전시회에서 가장 시선을 끄는 전시관은 ‘대중소 상생기반 대구시 e모빌리티 파빌리온’이다. 성장세를 보이는 이륜 전기차 산업이 미래형 자동차 시장을 선점하고, 국제 경쟁력 확보하기 위해서는 ‘컨소시엄 기반의 대·중·소기업 상생 협력형 모빌리티 산업육성’이 필요하다.
하지만 현재 약 20만대 규모의 국내 이륜차 시장은 대부분을 중국과 일본 제품들이 차지하고 있다.
이에 대구기계부품연구원과 현대자동차 계열사 등 대·중·소기업은 컨소시엄 협업을 통해 이륜전기차 관련 제품기술을 국산화시키고 탈중국, 극일본를 실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 DIFA2021포럼에서는 최신 트렌드를 반영한 20개 세션을 구성했으며, 7개국에서 74개 강연이 진행된다. 코로나19 상황을 반영해 올해 포럼은 온·오프라인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현행 사회적 거리두기 3단계에 맞추어 강연장당 출입인원은 50명 미만으로 제한된다.
서장은 엑스코 사장은 “대구국제미래자동차엑스포 2021에서 많은 미래차 수요-공급업계 관계자들이 이번 전시회와 포럼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최신 정보를 교류하고 판로개척의 발판을 마련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재욱기자 kimjw@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