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경주에 ‘혁신’과 ‘변화’의 새바람이 불고 있다.
주낙영 시장 취임 후 다양한 분야에서 굵직한 성과를 내며 미래 100년을 향한 도약을 앞당기고 있다.
최근 외부기관이 잇따라 공개한 평가지표만 봐도 경주의 미래는 매우 밝다.
먼저 그동안 공격적인 행정을 펼쳐 경주발전 발목 잡았던 문제 해결에 앞장섰다.
시는 △40년 넘게 해결 못한 한센인 집단 이주마을 ‘희망농원’ 환경개선 사업 착수 △성건동·중부동 구도심 지역과 불국사역 주변 구정동 고도제한 36m 완화 △방치나 다름 없었던 손곡동·물천리 구 경마장 부지 매입완료에 따른 정비·활용 방안 마련이 대표적인 사례다.
두번째로는 1967년 근린공원 지정 이후 50년 넘게 이렇다 할 변화가 없었던 경주도심의 허파 ‘황성공원’이 문화공원과 근린공원으로 각각 분리되면서 보존성과 활용성을 높인 도심공원으로 ‘재탄생’하게 됐다.
세번째로 경주 도심권역의 새로운 랜드마크가 될 황금대교 착공으로 꼽힌다.
황금대교가 완공되면 기존 황성동과 현곡면을 유일하게 연결하던 금장교의 교통정체 해소로 금장지구와 현곡 푸르지오 등 대규모 아파트 단지의 정주 여건이 크게 개선될 전망이다.
경주시는 국비 확보와 재정운영 혁신으로 예산 2조원 시대를 준비한다.
2018년 말 기준 1조4천215억원이던 예산은 2021년 2회 추경 기준 1조8천430억원으로 30% 가까이 늘었다.
그간 열악한 지방재정을 보완하기 위해 국비 확보에 총력을 기울인 결과 3년간 115건의 공모사업에 선정되며 국비 2천86억원을 확보하는 성과를 이뤘다.
그리고 신라왕경특별법 제정으로 법적 기본틀 마련과 ‘신라역사문화정원’ 추진에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신라왕경특별법 제정은 동법 시행령 제정에 따라 신라왕경 정비·복원 범위가 기존 8대 사업에서 낭산 일원 복원정비사업을 포함해 15대 사업으로 확대됐다.
또한 남산을 비롯한 경주국립공원과 사적지, 형산강, 동해안 등 도시 전체를 세계역사생태문화정원으로 묶는 ‘신라역사문화정원’ 추진 전략의 밑그림도 준비하고 있다.
시는 이 같은 성과를 바탕으로 한 단계 더 나아가 ‘2025년 APEC 정상회의’ 유치도시 지정을 위해서도 행정력을 집중할 계획이다.
또 변화된 경주의 또 다른 특징은 여성과 어린이가 행복한 가족친화도시 만들기에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으며 경주시의 가장 큰 변화는 소통과 공감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이다.
최근 실시한 ‘시민만족도 조사’에서 ‘주요정책과 시정활동 인지도’를 묻는 질문에는 57.9%가 ‘인지하고 있다’고 답했다.
/황성호기자
hsh@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