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너를 찾아가는 길

등록일 2021-09-13 18:31 게재일 2021-09-14 19면
스크랩버튼
유영희인문글쓰기 강사·작가
유영희​​​​​​​인문글쓰기 강사·작가

J는 중학생이다. 진로에 고민이 많다. 지금 원하는 일, 신나는 일이 있지만 마냥 즐길 수만은 없다. 그 일의 미래가 불확실하기 때문이다. 아무래도 이루어진다는 확실한 보장이 없다면 나서기 어려울 것이다. 이루어질 가능성이 어느 정도 되어야 시도할 수 있을 텐데, 불확실한 시대라 더 불안할 것이다. J의 고민을 듣다 보니 책 두 권이 생각난다.

E.B.화이트의 동화 ‘스튜어트 리틀’은, 그의 대표작 ‘샬롯의 거미줄’보다 마음이 더 가는 작품이다. 주인공 스튜어트 리틀은 마음씨 좋은 스튜어트 부부 사이에서 태어난 생쥐다. 인간이 쥐를 낳았다니, 이런 설정에 무슨 심오한 의미가 있는 것은 아닐까 생각할 겨를도 없이 스튜어트 부부는 생쥐 아들을 아무 편견 없이 아들로 받아들인다. 그 덕분에 생쥐 아들은 큰 불편 없이 밝게 자란다. 부부가 키우는 고양이 때문에 마음을 여러 번 졸이지만, 큰 문제는 없다. 그러다 어느 날 집에 들어온 새에게 반하지만, 새는 계절도 바뀐 데다 이웃집 고양이의 습격 계획을 알게 되자 북쪽으로 떠난다.

여기서 끝나면 그래도 평범한 이야기가 되겠지만, 스튜어트 리틀은 새를 만나러 떠난다. 생쥐가 도중에 만나 생쥐 여인을 마다하고, 만날 수 있을지 알 수 없는 새를 찾아 떠나는 모습이 무모하고 어리석어 보이면서도 오묘한 감동을 준다.

그림책 ‘세상 끝에 있는 너에게’는 더 해피엔딩이다. 이 책은 ‘스튜어트 리틀’과 비슷하면서도 결말이 다르다. 북쪽에 사는 곰은, 한 계절 같이 지낸 새가 따듯한 남쪽으로 떠나자 새를 찾아 남쪽으로 온다. 그러나 새는 이미 다시 북쪽으로 떠난 후다. 곰이 보낸 편지도 하나도 못 읽었다. 곰은 실망하지만 다른 새들의 도움을 받아 다시 북쪽으로 오고, 드디어 새를 만난다.

곰이 새를 찾아 남쪽으로 떠난다는 것도 어리석어 보이고, 가만히 있었어도 다시 새를 만났으리라는 어김없는 사실은 곰의 여행이 의미 없어 보이기도 한다. 그러나 새를 찾아 떠난 곰과 가만히 앉아 새를 기다리는 곰이 같은 곰은 아니다.

디즈니 버전 ‘스튜어트 리틀’이 뻔한 가족주의로 끝나서 실망했는데, 원작은 전혀 다르다. 사람 부부 사이에서 생쥐가 태어난다는 설정도 너무 이상하고, 그 생쥐가 새를 사랑해서 먼 길을 떠나는 결말은 더 낯설다. 그러나 시간이 지날수록 여운이 남는다. ‘세상 끝에 너에게’에 나오는 곰 역시 얼마나 사랑스러운지, 그림도 정말 좋다.

문학에서 느끼는 감흥이 금방 힘을 줄 수는 없다. 그러나 “문학은 동시에 불가능성에 대한 싸움이다. 삶 자체의 조건에 쫓기는 동물과 다르게 인간은 유용하지 않은 것처럼 보이는 것을 꿈꿀 수 있다”고 한 문학평론가 김현의 말처럼, 사람은 문학을 통해 꿈꿀 힘을 얻는다.

‘스튜어트 리틀’이 새를 만나러 내딛는 발걸음이 행복한 것처럼, 지금 내가 원하는 길을 떠나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행복할 수 있다고. 그러다 보면, 곰이 만난 새들처럼 뜻밖의 행운이 기다리고 있을 거라고 믿게 된다. 이 말을 J에게 건네고 싶다.

유영희의 책갈피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