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직장에서 나이를 언급하는 것은 금기시 되어 있다. 입사 원서에도 나이를 쓰지 못하도록 되어 있고 나이가 승진 등에 기준이 되지 않는다.
미국대학은 한국대학처럼 65세에 정년 퇴임하지 않는다. 각 교수가 판단하여 자기가 역할을 할 수 있을 때까지 하다가 스스로 은퇴한다.
지난주 한국에서는 충격적인 일이 일어났다. 원로 철학자 김형석 연세대 명예교수를 향해 “너무 오래 살았다. 100세 정도에는 판단이 흐려진다. 오래 사는 것이 위험하다는 옛말이 생겨난다. 약 80세 정도가 그런 적정 수명 한도선이 아닐까 생각한다”라는 취지로 발언한 변호사가 있었다. 김 교수가 일본 언론과 인터뷰에서 친일적 발언을 했다는 주장으로 이런 발언을 했다고 전해진다. 덧붙여 존엄사의 적정 연령이 80세 정도가 아닐까 생각한다며 곡기를 끊어 스스로 떠나야 한다는 주장까지 펼쳤다고 한다.
필자는 그의 SNS에 “그 나이에 가보지 않고 그 나이 사람을 평가할 때(얼마든지 비판할 수 있으나) 나이를 언급하여 비판하는 것은 올바른 비판은 아닙니다. 20년쯤 후에 본인이 언급한 나이가 되었을 떄 하신 발언을 되돌아볼 때 아마도 깊이 사과하게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라고 댓글을 달았다.
그의 답은 “내가 무슨 말을 왜 했는지 알고나 아무 소리나 하시오”였다. 그래도 욕설이 없었으니 다행이었다.
나이가 많든 적든 우리는 누구든 비판할 수 있고 동의를 표하지 않을 수 있다. 그건 개인의 사고가 자유로운 민주국가의 특징이기도 하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비판을 하면서 상대의 나이를 거론하는 것이다. 젊은 사람도 사고가 잘못될 수 있고 나이 든 사람도 판단력이 정확할 수 있다. 매주 평균 한 개의 강연을 100세 나이에 전국을 누비면서 소화하고 있는 김 교수의 강연을 직접 들어본 적이 있는데 기억력이 뚜렷하고 사고가 정확했다. 소위 좌측 사람들의 대물림인지 사회의 어른을 공격하는 태도는 오래전에도 있었다. 이번 사건은 곰곰 생각해보니 그들이 떠받드는 노무현 정부 시절 이미 해봤던 경험이었다. “사람이 살면서 참 별 꼴 다 본다는 생각을 하고 있다.” 2005년 모 국무총리가 국회 대정부질문 답변에서 화를 터뜨리며 터뜨린 발언이다.
80대 중반의 고령의 김수환 추기경이 “요즘 나라가 진보와 보수, 개혁과 반개혁으로 갈라져 있어 너무 걱정스럽다”고 우려하고 있었다. 특히 당시 친북 인사들을 싸고도는 데 대해 “우리가 간판만 대한민국이고 지배하는 사람들은 영 다른 생각을 가진 나라에 살고 있는 게 아닌지 분간하기 어렵다”고 한 발언에 대한 반응이었다.
패륜이란 말이 있다. 인간으로서 당연히 하여야 할 도리에 어그러짐, 또는 그런 현상. 국어사전은 패륜을 이렇게 정의하고 있다. 패륜적 발언을 즉시 멈추어야 한다. 누구든 자유롭게 비판할 수 있다. 그러나 그 나이에 가보지 않은 사람이 그 나이를 거론하면서 비판하는 건 옳지 않다.
도대체 “나이가 어때서?” 젊은 당신의 사고가 훨씬 위태롭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