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최재형<br/>“여론조사 왜곡으로 인한<br/>약체 후보 선출 방지 위해 포함” <br/>홍준표·유승민 <br/>“중도확장 포기할건가… 불필요”
국민의힘에서 대선 후보를 뽑는 경선 룰을 둘러싸고 갈등이 점화됐다. 윤석열 전 검찰총장과 최재형 전 검사원장은 여론조사 왜곡으로 약체 후보가 선출되는 것을 방지하려면 역선택 방지조항을 포함해야 한다고 주장한 반면, 홍준표(대구 수성을) 의원과 유승민 전 의원은 중도확장성을 이유로 역선택 방지조항 도입을 반대했기 때문이다.
유승민 전 의원은 29일 SNS를 통해 윤 전 총장 측이 경선 여론조사에 역선택 방지 조항을 넣자고 하는 것에 대해 “어느 수험생이 자기 입맛대로 시험 문제를 바꾼다는 말인가”라며 역선택 방지조항 도입은 확장성을 포기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유 전 의원은 “역선택 방지가 옳지 않다는 것은, 경준위가 여론조사 전문가들의 의견까지 듣고 두번이나 결정한 사항이고 최고위가 추인한 상황”이라며 “이제와서 이걸 뒤집겠다는 윤석열 캠프의 주장은 불공정의 극치”라고 날을 세웠다.
그러면서 그는 2007년 한나라당 이명박-박근혜 후보 간 경선 및 2012년·2017년 대선 경선에서도 역선택 방지조항이 없었다는 점을 강조하며 “역선택 방지라는 이상한 이름으로 우리 지지자가 될 수 있는 유권자들을 배제하고 정권교체를 한다는 게 말이 되냐”고 반문했다. 앞서 홍준표 의원은 지난 27일 호남지역 범보수권 대선후보 적합도에서 1위를 기록한 여론조사를 공유하며 “이래도 이것을 역선택이라고 하겠느냐”고 했고, 하태경 의원 역시 반대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같은 주장에 대해 윤 전 총장은 이날 여의도 국민의힘 당사에서 부동산 공약을 발표한 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룰에 관해서는 합리적이고 공정하게 될 것”이라며 “개인적으로는 위원회의 결정에 따를 생각”이라고만 했다.
반면, 최재형 전 감사원장과 원희룡 전 제주지사는 역선택 방지조항을 포함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최 전 원장은 “민주당을 지지하는 분 중에 우리 당의 특정 후보들을 지지하는 비율이 높다는 자료가 많다”며 “여당에서 보기에 부담스러운 주자들에 대해 그 지지도를 낮추려고 하는 의도가 있지 않나 의심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원 전 지사도 “본선 경쟁력에 가장 유리하고 정권교체에 바람직하냐는 기준만 가지고 검토해주길 바란다”며 “여론조사에 국민의힘 지지층 외에 민주당 지지층을 포함시킬 것이냐, 이런 역선택 문제가 있다”고 언급했다. 당 선거관리위원회는 9월 5일 정홍원 선관위원장 주관으로 ‘대선후보 간담회’를 열어 각 후보의 입장과 의견을 수렴한 뒤 경선룰을 확정할 방침이다.
/박형남기자
7122love@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