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가 태극기를 달고 국제 마라톤 경기에서 처음 우승한 것은 서윤복 선수가 출전한 1947년 미국의 보스톤 마라톤 대회였다. 160cm 정도 되어 보이는 작은 체구의 동양인 선수가 태극기를 가슴에 붙이고 결승선으로 다가 올 때도 저게 어느 나라 국기인지 대한민국을 아는 나라가 없었다고 한다.
동대문에서 서대문까지 전차를 따라 다니며 연습을 했고 일본이 버린 헌옷을 주워 입고 리어카 바퀴에서 떼어낸 고무를 신발에 덧대어 뛰었다는 안타까운 후문도 있다.
마라톤 출전을 위해 보스톤으로 갈 때는 미 군용기를 얻어 타고 갔지만 귀국할 때는 여비가 없어 화물선을 얻어 타고 18일 만에 도착했다고 하니 실로 믿기조차 어려울 정도의 눈물겨운 이 모습이 그 당시 대한민국의 실상 이었다.
지난 20세기의 대한민국은 시련과 절망의 연속이었고 더불어 고난과 도약이 교차한 격동의 나날 이었다. 1945년 식민지 시대가 종식되고 1948년에 남북한이 각각 독자적인 정부수립을 한후 전쟁과 정치불안,보릿고개를 거쳐 오늘에 이르렀다.
북한과 달리 민주와 자유, 시장경제를 채택한 대한민국은 경제개발 5개년 계획과 함께 수출중심의 새로운 경제 정책의 시동을 건다. 그 정책원년인 1962년 수출규모 5천660만 달러는 아프리카의 우간다, 카메룬에게도 뒤지던 세계 104위 였다.
대한민국의 경이로운 발전을 상징하는 백미는 2010년, 국제사회의 엄격한 실사과정을 통해 국제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산하 개발원조위원회(DAC)가입된 일이다.
전문가들은 지난 50여년 동안 한국이 받은 원조규모는 개략 127억달러 정도로 지금의 가치로 환산하면 600억 달러가 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처럼 반세기 전만해도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나라 중 하나로 대규모원조를 받던 수혜국에서 드디어 원조를 주는 공여국으로 옷을 갈아입은 것이다. 아시아에서는 일본에 이어 2번째이고 세계에서는 23번째 쾌거이다. 이처럼 놀라운 성공스토리는 세계사에서 그 유례를 찾을 수 없는 일이다.
얼마전 코로나19 와중에 감동스런 기사하나가 실린 것을 보았다 ‘50여년 만에 한국으로부터 받은 보답’이란 제목의 이 보도는 우리나라의 위상과 국격을 확인시키기에 충분했다. 미국 뉴욕주에 사는 샌드라 네이선씨는 은퇴한 인권, 노동변호사로 올해 75세인 그녀는 하루에 20만명 이상이 발생하는 코로나 와중에 50년전 한국에서 평화봉사단으로 일한 자신에게 ‘코로나19 생존박스’라는 소포가 배달되고 있다.
이 예기치 못한 선물 안에는 한국을 위해 봉사한 귀하의 헌신에 감사함을 표시하고 마스크 100장, 항균장갑, 홍삼캔디, 은수저, 비단부채, 피부보호제 등이 들어 있었다. 네이선씨는 여러 언론인터뷰에서 ‘마치 1968년부터 나를 향해 기나긴 여행을 다녀온 상자 같았다. 거기에 담긴 마법 같은 것이 나를 눈물짓게 했다’고 밝히고 있다.
시카코 대학을 갓 졸업하고 21세 때 한국평화봉사단에 자원한 네이선시는 춘천에서 여고생들에게 영어를 가르쳤다. 그 당시 한국은 질병과 독재, 가난과 6·25전쟁으로 폐허처럼 찌들어 있었다.
아이들은 신발도 없이 돌아다녔고 밤이면 쥐들이 천장을 뛰어다니는 소리로 밤잠을 설쳐야 했다. 뒷간에는 화장지도 없었고 겨울에는 얼음을 깬 물로 세수를 해야 했다. 살을 에는 추위에도 교실에는 작은 숯불난로 하나가 전부였다.
이런 환경에도 학생들의 영어공부에 대한 열정은 추위를 녹일 정도였다. 그리고 2년 후 정든 학생들을 뒤로하고 미국으로 돌아왔다.
그로부터 50년 후 눈부신 발전으로 세계 10대 경제대국으로 성장한 한국이 나이 든 네이선씨를 지켜 주겠노라며 잊지 않고 코로나 19 생존 물품을 보낸 것이다.
10년전 2011년에 한국정부로부터 초청을 받아 남편과 함께 서울을 찾은 그는 ‘상전벽해’라는 말보다 더 적절한 표현은 없을 것 같다며 감동했다는 말도 전 한다.
독일의 역사가 슈펭글러는 그 어떤 강대국이나 민족도 흥망성쇠를 피할 수 없다고 했지만 토인비는 그런 역사 숙명론을 거부하면서 자연 조건이 지나치게 좋은 환경에서는 제대로 된 문명은 나타나지 않았다고 강조 한다.
이집트 역사도 독사가 우글거리는 나일강변 밀림지역으로 옮겨 농경과 목축을 선택한 부족이 찬란한 문명을 일궈냈다. 중국의 문명도 온화한 기후와 맑은 물이 흐르는 쾌적한 양쯔강 아니라 쿤룬 산맥의 혹독한 추위로 배조차 다닐 수 없고 사시사철 혼탁한 물이 흐르는 험난한 황허 강변에서 꽃피웠다.
오천년 동안 외침과 가난에서 자유롭지 못한 대한민국, 부존자원 하나 없이 분단위협에 시달리면서 지구상에서 유일하게 반세기만에 원조 받는 나라에서 원조를 하는 나라로 바꾸어 놓은 대한민국이 자랑스럽다.
오직 앞만 보고 다려 온 반세기 동안 피땀으로 쌓아 올린 금자탑을 다가올 50년에도 무너지지 않도록 더 높이 더 튼튼하게 쌓아가는 그런 대한민국이 되기를 기원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