늘어나는 생활쓰레기를 처리하고자 경산시가 증설을 추진하고 있는 자원회수시설(소각장)이 지역주민의 거센 반발이라는 암초를 만났다.
시는 1일 70t의 생활쓰레기를 소각하고 10t의 하수 찌꺼기를 건조할 수 있는 자원회수시설을 (가칭)경산클린에너지(주)와 손익공유형 민간투자로 자원회수시설이 가동 중인 용성면 용산리 247번지에 2023년까지 증설할 예정이지만 지역민의 반대에다 자원회수시설의 환경영향권 2km에 속한 청도군 금천면민도 증설반대에 동참하고 있어 해결이 쉽지 않을 전망이다.
시는 매립되는 생활쓰레기를 줄이고자 2006년 자원회수시설을 유치하는 지역에 40억원의 주민지원기금과 50억원의 주민지원사업과 편익사업 등 90억원의 인센티브를 약속하며 공모에 나서 2007년 용성면 용산지역을 선정해 2015년 1일 100t을 소각할 수 있는 자원회수시설을 준공해 운영 중이다.
하지만, 약속했던 자원회수시설에 따른 기금사용이 자원회수시설 2km 반경으로 한정되며 지역의 변화를 기대했던 용성주민의 기대와는 달리 지역에 변화를 가져오지 못했다.
더욱이 위생매립장이 설치되며 125억원의 주민지원기금과 48억원의 주민숙원사업비 등 173억원으로 모습이 확 바뀐 남산면과 대비되고 시가 “자원회수시설의 증설은 이미 2007년 유치단계에서 거론된 이야기로 증설에 따른 인센티브를 제공할 수 없다”라며 선을 긋자 불만감이 지역민의 불만감이 고조되고 있다.
증설 반대 뜻을 분명히 밝히고 있는 용성발전협의회 박의수 부회장은 “170t 소각에 따른 환경영향평가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그 결과가 미지수이고 후손들이 살아야 할 터전이지만 음식물처리업체 등 환경업체가 지역에 몰려들며 지역민의 건강 등이 위협받고 있지만 여기에 대한 언급이나 대책은 어디에도 없다”며 “증설반대를 끝까지 관철할 것이다”고 밝혔다.
한편, (가칭)경산클린에너지주식회사는 14일 오후 2시 용성행복나눔센터에서 ‘경산시 자유회수시설 증설 민간투자사업(BTO-a) 환경영향평가(초안) 공청회’를 개최해 주민들의 의견을 청취할 예정이다.
(가칭)경산클린에너지주식회사는 소각장이 증설되면 준공으로 20년간 운영권을 갖는다.
/심한식기자 shs1127@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