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치 풍향계<br/>신 신진사대부의 등장<br/>국민의힘 입당한 최재형 등 野 유력 대권주자 3명 행보 관심<br/>국민 눈높이·변화된 정치로 새로운 정치세력 구축 기대감 높아
최재형 전 감사원장이 국민의힘에 전격적으로 입당을 선언하면서 가장 큰 정치 이슈로 등장했다. 특히 윤석열 전 검찰총장의 행보와 비교하는 내용이 주된 관심사였다.
일부에서는 최 전 원장의 대선 참여 선언 이후 곧바로 국민의힘에 입당하면서 윤 전 총장과 차별화를 시도했다는 분석이 우세했다. 범야권 대선주자 중 선두를 달렸던 윤 전 총장이 입당을 미루면서 검증이라는 이름으로 온갖 세파에 시달리는 점과도 대조를 이룬다는 평가까지 나오고 있다.
최 전 원장에 대해서는 대선 출마선언과 국민의힘 입당 이후 별다른 지적이 나오지 않는 점이 이같은 평가를 뒷받침하고 있다.
특히 일부에서는 최 전 원장이 오히려 윤 전 총장보다 우파진영에 더 파괴력이 있을 것이라는 분석마저 나오는 등 윤 전 총장의 입당을 기다리는 이들의 아쉬움을 대신하고 있는 상황이다. 윤 전 총장도 나름대로 대선 열차에 올라타기 위한 자신만의 정치적 행보를 하고 있지만, 당 밖에 있다보니 여당은 여당대로 야당은 야당대로 흠집내기에 전력투구를 하고 있는 분위기다.
여기에다 김종인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의 언급도 국민의 시선을 범 야권으로 집중시키는 역할을 했다는 지적이다. 김 전 위원장은 지난 16일 범야권의 대권주자인 윤 전 총장과 최 전 원장에 대해 ‘무엇을’, ‘왜’가 보이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이날 김 전 위운장은 “(윤 전 총장은) 초창기 지지도 하나만 갖고 대통령이 될 수 있다는 착각을 하면 안 된다”며 “대통령이 되면 무엇을 어떻게 하겠다는 비전을 제시하지 못하는 동안 시간을 많이 소비해버리고 말았다”고 지적했다. 최 전 원장에 대해서는 “자기 나름대로 정치에 왜 참여하는지 분명하게 얘기한 게 없다”며 “막연한 소리만 해선 국민을 설득할 수 없으며 정당이라는 것은 항상 밖에 근사한 사람이 있으면 욕심을 내는데, 일단 데려오고 나면 책임을 지는 데가 아니다”고 평가했다.
김동연 전 부총리도 내년 대선에 출마할 가능성이 커지면서 정가에서는 윤 전 총장과 최 전 원장 등 3명을 총칭해 ‘신 신진사대부’라고 언급하기도 한다. 신 신진사대부라는 표현이 등장한데는 우선 국민의 정치적 눈높이가 상당히 변화되고 있음에 기인한다.
국민의힘 이준석 당 대표가 쟁쟁한 당내 인사들을 물리친 원인에도 20∼30대 등을 비롯한 이른바 중도층들이 그동안 보여주지 않았던 적극적인 정치참여가 자리하고 있기 때문이다.
과거 정치를 바라보던 국민의 시선과 지금은 확연하게 차이를 보이면서 새로운 정치세력을 기대하는 분위기 속에 이 같은 용어가 등장하고 있는 상태다. 옛날과 같은 정치적인 방식으로는 변화하고 있는 국민의 기대감을 채워줄 수 없음을 반증하고 있는 셈이다.
/김영태기자 piuskk@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