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무왕은 삼국시대 통일의 과업을 달성하면서 궁궐인 월성과 그 주변을 정비하였다. 이 시기에 개발된 동궁과 월지는 신라가 멸망할 때까지 태자의 공간이 되고, 연회를 베푸는 장소가 되는 등 궁궐인 월성과 함께 중심지 역할을 하였다. 신라 멸망 이후 못 속에 잠겨 있던 이 찬란한 문화들은 1975~76년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의 전신인 경주고적발굴조사단에 의해 발굴되었다.
70년대의 발굴조사에서 출토된 유물의 수량은 총 3만 점에 달한다. 유물들은 연못 내부 건물지 가까이에서 많이 출토되었다. 출토된 유물들은 동궁과 월지의 존재와 그 연대의 근거를 알려주었다. 그리고 신라의 건물지에 쓰인 기와와 건축부재, 일상생활에 사용되었던 용기와 숟가락, 풍류를 즐길 때 쓴 주령구와 배 등 유물들은 신라인의 생활이 녹아있다.
‘동궁과 월지’라는 이름보다 우리에게 익숙한 ‘안압지’라는 명칭이 있다. 이 명칭은 2011년 ‘동궁과 월지’로 변경되었는데 그 이유는 무엇일까?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유물에서 찾을 수 있다. ‘삼국사기’에는 동궁은 679년에 창건되고, 동궁아, 세택, 월지전 등 동궁 소속 관청이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월지에서 출토된 ‘동궁아일(東宮衙鎰)’명 자물쇠, ‘세택’명 목간 등 월지 주변에 관청들이 있었음을 나타낸다. ‘의봉사년개토(儀鳳四年皆土)’명 기와와 ‘조로이년(調露二年)’명 벽돌은 중국 당나라 황제 고종의 연호로 유물이 제작된 연대를 알려준다. 당나라 황제 고종의 13개의 연호 중 ‘의봉’과 ‘조로’는 9, 10번째로, 각각 679년, 680년에 해당된다. 이 연대는 ‘삼국사기’ 동궁 창건 연대와도 일치한다. ‘삼국사기’ 기록, 출토된 유물들의 연구를 통해 2011년 ‘안압지’를 포함한 ‘임해전지’라는 사적명은 ‘동궁과 월지’로 변경되었다.
동궁과 월지의 입구에서 걷다 보면 연못 서편으로 복원된 건물지 세 동을 발견할 수 있다. 조선시대나 현대에 복원한 건물들과 비슷해 보이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건물은 연못에서 출토된 부재들을 통해 복원한 것을 알 수 있다. 기둥 위 지붕을 받치기 위한 공포의 부재인 첨차와 주두, 난간을 장식한 살대 등의 건축부재는 모두 출토유물을 복원한 것이다.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 건축물은 봉정사 극락전으로 고려시대의 것이다. 온전한 건물의 형태는 아니지만 이보다 오래된 한국의 전통 건축을 보여주는 것이 월지에서 출토된 건축부재이다.
동궁과 월지에서 출토된 유물들은 죽은 이를 위해 만들어 무덤에 부장하는 유물과는 다르게 신라인들이 실제로 쓰던 생활유물들이다. 촛불의 심지를 자르는 가위 하나도 문양을 새겨 화려하게 만든 것을 보면 신라인들이 얼마나 풍요로운 생활을 했는지 알 수 있다. 신라에서 생산된 고품질의 생활용품은 이웃나라 일본까지 수출되었다. 앞서 설명한 가위와 형태가 유사한 것이 일본 나라 동대사에서 발견되었다. 또한 월지 출토품과 유사한 숟가락과 금속 용기 등도 발견되었는데, 숟가락은 수출 시 흠집이 나지 않게 닥종이로 10개씩 곱게 싼 채로 보관되어 있었다. 일본 왕족과 귀족들이 신라 물품을 구입하기 위해 752년에 작성한 ‘매신라물해’라는 문서는 정창원에서 발견되어 다른 유물들과 함께 당시의 신라와 일본 교역을 잘 보여준다.
동궁과 월지를 찾는 많은 관광객들은 관람경로를 걷다보면 돌을 쌓아 만든 연못과 조경수들 그리고 조경의 불빛이 어우러진 아름다운 모습을 간직하기 위해 카메라의 셔터를 누른다. 월지의 아름다움에 마음을 뺏긴 것은 지금의 우리뿐만 아니라 당대의 사람들도 그러했을 것이다. 월지에서는 이 아름다운 광경을 배경삼아 오락을 즐기던 신라인들의 모습을 엿볼 수 있는 유물들이 출토되었다. 그 가운데 대표적인 것이 주령구이다. 주령구는 총 14면이고, 손에 잡히는 사이즈로 참나무로 제작되었다. 주령구의 각 면에는 삼잔일거(술 세 잔 한 번에 마시기), 금성작무(소리 없이 춤추기), 음진대소(술을 다 마시고 크게 웃기) 등 주연석상의 분위기를 한껏 돋우는 문구들이 새겨져 있어 신라인들의 풍류의 한 면을 엿볼 수 있다.
발굴현장에서 출토된 유물들은 기록, 보존처리 등의 과정을 거쳐 책, 디지털 매체 또는 박물관 등을 통해 일반인들에게 공개된다. 짧게는 수 십 년, 길게는 수 천, 수 만 년 전의 유물이 땅에 묻혀있었다는 신기함과 유물 자체가 주는 신비로움은 사람들을 매료시키기에 충분하다. 나아가 유물이 언제 만들어졌고, 이 유물을 사용한 사람들의 생활은 어떠하였는지에 대한 정보도 연구자들의 노력으로 많이 축적되어 우리에게 유익한 정보를 제공해준다. 못 속에서 찾은 보물들도 그와 마찬가지로 보물을 만들고 사용한 신라인들의 모습을 잘 반영하고 있다. 동궁과 월지에서 발굴된 유물에 대한 연구는 아직 현재 진행 중이며 앞으로 신라문화에 대한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또한 현재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에서는 70년대 발굴지역의 추가 조사와 함께 주변의 확장 조사를 실시하고 있는데, 여기서 출토된 유물들이 앞으로 더 재미있고 유익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라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