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윤석열, 대전서도 ‘탈원전’ 강력 비판

김진호기자
등록일 2021-07-06 20:12 게재일 2021-07-07 3면
스크랩버튼
카이스트 학생들과 간담회<br/>이틀째 文 정부 정책 공격<br/>충청대망론엔 “집안이 논산”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6일 오후 대전시 유성구 어은동 카이스트에서 학생들을 만나 탈원전 정책에 관한 의견을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

야권 대권주자인 윤석열 전 검찰총장은 6일 대전 카이스트에서 원자력공학 전공생들과 간담회를 열고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을 강하게 비판했다.

윤 전 총장의 탈원전 정책 비판행보는 전날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주한규 교수를 만난 것에 이어 이틀째이다.


‘윤석열이 듣습니다’ 타이틀로 진행하는 민심 행보의 첫 순서로 탈원전정책을 겨냥한 셈이다. 윤 전 총장은 간담회 후 기자들에게 “장기간 검토와 국민적 합의를 거쳐 진행됐어야 하는 에너지 정책이 너무 갑작스럽게 이뤄진 것은 문제”라며 “무리하고 성급한 탈원전 정책은 반드시 바뀌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원자력 에너지라는 게 영화에서 보는 것처럼 그렇게 위험천만한 것이 아니다”며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도 일본의 지반과 관련한 문제이지 원전 자체 문제는 아니었다”고 강조했다.


탈원전 정책 때문에 앞길이 막힌 전공생들의 상황을 거론하면서 “원전 기술과 산업 생태계가 한번 망가지면 다시 회복할 수 없는 중차대한 문제이기 때문에 정부 정책이 바뀌길 기대하면서 나라를 위하는 마음으로 계속 공부하는 것으로 안다”며 “정말 감사하고 감사한 마음”이라고 위로하기도 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석·박사 과정 재학생과 졸업생 등 3명이 참석했다.


석사과정 휴학 중인 구현우씨는 간담회에서 “탈원전 정책이 시작되고 저희의 꿈은 일종의 적폐, 정치적인 부분으로 여겨졌다”며 “꿈이 매몰되는 경험을 했다”고 토로했다.


박사과정생인 조재완씨는 “저렴한 원자력으로 어려운 이웃들의 삶의 질을 높여주고 물가상승률도 억제해야 한다”며 “환경을 위해 전기료를 올려야 한다는 단체들에 동의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노트에 필기하며 유심히 듣던 윤 전 총장은 “과학은 정치를 뛰어넘어 오로지 국가와 사회를 위해 연구가 이뤄져야 한다는 의견을 감명 깊게 들었다”고 화답했다.


한편 윤 전 총장은 이날 대전에서 가진 언론간담회에서 “충청대망론이라는 게 충청 출신으로 대통령이 되신 분이 없어서 나오는 말”이라며 “충청대망론을 충청인들이 언급하는 것에 대해 굳이 옳다 그르다 비판할 문제는 아니고, 지역민 정서로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윤 전 총장의 지지자들은 윤 전 총장의 부친인 윤기중 연세대 명예교수의 출신·주거지가 충남 논산·공주라는 이유로 충청대망론을 띄우고 있는 상황이다.


고(故) 김종필 전 총리에서 시작된 충청대망론은 대선 때마다 위력을 발휘했지만 충청 특유의 ‘캐스팅보트 표심’에 막혀 번번이 좌절을 거듭했다.


그는 “저희 집안이 논산 노성면에서 집성촌을 이루며 500년을 살아왔고, 논산에서 태어난 부친은 연기에서 살다가 교육 때문에 공주로 이전했다”며 “저는 서울에서 교육받았지만, 500년전부터 부친이나 사촌들의 뿌리는 충남에 있었기에 많은 충청인이 그렇게 생각해주시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김진호기자 kjh@kbmaeil.com

정치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