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난폭·보복운전 없애려면 교통문화 개선해야

등록일 2021-07-04 19:41 게재일 2021-07-05 19면
스크랩버튼
난폭·보복운전이 사회문제가 되면서 좀더 엄중하게 사건을 다룰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지만 좀처럼 개선이 되지 않고 있다. 경북경찰청 자료에 의하면 지난해 난폭·보복 운전과 관련해 경북경찰청에 신고된 건수는 1천65건이다. 2년 전인 지난 2018년 739건보다 30%가량 증가했다. 주로 경주와 포항, 구미 등 교통량이 많은 도시지역에서의 신고 건수가 늘어나고 있는 것이 주요 원인이다. 특히 포항북부 지역에서의 신고건수는 지난 2018년 19건에서 2020년 181건으로, 10배 가까이 늘어났다.

이같이 난폭·보복운전이 기승을 부리는 것은, 경찰에 사건이 접수되더라도 기소가 되지 않고 단순히 교통법규 위반으로 처리되고 있기 때문이라는 지적이다. 난폭·보복운전으로 사건이 검찰에 넘어가서 재판까지 받는 경우는 신고 사건 중 채 10%가 안 된다. 대부분 스티커 발부로 사건이 종결되고 있다.

우리 사회에서 현재 난폭운전과 보복운전은 심각한 사회병리현상으로 자리잡고 있다. 난폭 운전은 고의로 다른 사람의 교통을 방해하거나 위협하는 행위이며, 보복운전은 운전 중에 자신에게 피해를 준 상대방에게 앙갚음을 하려는 의도로 위협을 가하며 운전하는 것을 뜻한다. 전문가들은 난폭운전은 자신의 차량 속도를 늦추는 모든 자극에 대해 굉장히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그리고 보복 운전은 대부분 순간적인 화를 참지 못해 발생한다고 진단하고 있다.

난폭·보복 운전을 줄이지 위해 처벌을 강화하는 것도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겠지만, 장기적으로는 우리 사회의 교통문화를 바꿔 나가야 한다. 면허시험 과정에서 이와 관련한 운전 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아마 운전자 대부분은 끼어들기를 하면서 ‘미안하다‘는 신호로 상대 차량이 비상등을 켜면 마음이 누그러지는 경험을 한 적이 있을 것이다. 그리고 다른 차량의 운전능력이나 습관에 신경을 쓰면서 통제를 하려는 자세만 없애도 보복운전이 많이 줄어들 수 있다. 많은 운전자들이 함께 도로를 달리는 모든 차량을 경쟁자로 여기기 때문에 난폭·보복 운전이 줄지 않는 것이다. 도로 위에서는 누구나 가해자가 될 수도 피해자가 될 수도 있다는 걸 명심해야 한다.

김진국의 ‘정치 풍향계’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