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메랄드빛 바다로 둘러싸인 신비의 섬 울릉도에서 깃발 작품들이 일제히 나부꼈다. 하얀 바탕의 천과 종이에 시(詩)를 품거나 묵향을 머금기도 하고, 울릉도·독도의 자연경관을 담은 작품 사진이 깃발로 만들어져 울릉군 주민들이나 관광객들의 손에 쥐어져 움직일 때마다 바람에 나풀거리곤 했다. 간혹 독도를 가거나 다녀온 관광객들의 손에 들려진 손태극기와 깃발 작품이 어우러져 이색적인 광경이 연출되기도 했다.
이 같은 모습은 지난 주 울릉군 도동항 일원에서 열린 2025 경북문화재단 예술거점지원사업의 일환으로 포항꿈틀로사회적협동조합에서 기획·주관한 ‘명불허_어전’ 2회차 체험형 테마 행사의 일부이다. 여기에 참여한 단체는 포항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포항서예가협회를 비롯 아라동화창작·사진모임포스·퐝프렌즈 등 4개 팀으로, 각 단체별 특색을 살려 흥미롭고 의미 있는 컨셉으로 이벤트를 진행했다.
사진모임포스에서는 울릉도와 독도의 자연경관을 사진작가가 촬영한 풍경사진 작품을 현수막천에 실사출력, 깃발형태로 만들어 관광객들에게 나눠주면서 대한민국의 아름다운 국토와 독도 사랑을 일깨워줬다. 또한 아라동화창작과 퐝프렌즈에서는 즉석에서 즐길 수 있는 간단한 체험도구를 통해 사전에 3D로 프린팅된 오방색 작은 모형배 위에 시(詩) 구절을 깃발 형태로 메모지처럼 꽂아 배부하는 활동을 진행하면서 진수식(進水式)의 의미를 암시하기도해 사람들의 눈길을 끌었다. 그리고 포항서예가협회 작가들은 정사각·직사각형으로 디자인된 현수막원단에 울릉도 주민 또는 관광객들이 신청한 희망·염원의 글귀를 한글·한문·캘리그라피 등의 서체로 즉석에서 깃발에 휘호해 나눠주는 활동을 펼쳤다.
이러한 일련의 퍼포먼스는 울릉의 바닷가에서 진수식의 의미를 떠올리며 예술가와 시민이 함께 깃발을 만들고, 그 깃발에 이야기를 담아 한 사람 한 사람의 마음이 깃발로 이어지고 모여서 또 하나의 진수식이 되는 시간을 마련하는 것이었다. 바다를 삶터로 삼는 사람들에게 있어서 이러한 어촌의 전설이나 유래담을 문화예술적인 접목으로 재현함으로써 다소의 안도와 위로가 되지 않았을까 싶다.
‘국토의 막내’같은 문화의 변방 울릉도에서 어부들의 바람인 진수식을 모티프로 예술적인 관점에서 재해석한 시도가 신선하고 고무적이다. 뱃길이 멀고 바람과 파고가 외세만큼이나 심한 독도는 민족의 자존심이자 울릉도 사람들에게는 앞마당이고 텃밭일 것이다. 어로의 곤고함을 뱃노래로 달래고 풍어와 만선(滿船)의 염원을 깃발로 나부끼게 하여 삶의 파도를 헤쳐가는 어부들에게 있어서의 진수식은, 간절한 마음이자 기원이며 소망일 것이다. 그렇기에 사라져가고 잊혀져가는 것들에 대한 연민과 보존, 계승으로 대안을 강구하고 새로운 활로를 모색한다는 것은 상당히 의미가 있는 일일 것이다.
이처럼 깃발작품 퍼포먼스 같은 ‘찾아가는 문화 이벤트’를 비롯, 재작년 가을에 도동항에서 열린 ‘울릉도 독도 해녀문화제’같은 문화행사가 주기적으로 열리게 된다면 문화예술의 기반이 취약한 울릉주민들에게 문화생활 향유와 정서순화에 도움을 줄 것이다. 울릉도만의 독창적이고 체계적인 문화예술 프로그램의 기획·운영으로 천혜의 관광자원과 더불어 문화예술이 꽃피어나길 기대해본다.
/강성태 시조시인·서예가